김대중 대통령, 차관급 인사 수석회의에 맡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DJ가 또 한번 YS와 다른 인사스타일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엔 차관급 인사차례다.

'김영삼 정부' 에서 차관급 인사는 청와대 민정수석의 몫이었다.

그는 존안자료를 토대로 단수 또는 복수의 인선안을 마련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대통령은 필요하면 해당부처 장관의 의견을 물어 최종 결정했다.

때문에 인선이 확정되기 전까지 총리는 물론 장관과 다른 청와대 수석들이 인사 전모를 파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다.

철저한 보안을 강조했던 YS였기에 더욱 그랬다.

그러나 김대중대통령은 판이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차관급 인선 기초작업을 청와대 비서실장과 수석들 회의에 맡겼기 때문이다.

물론 새 청와대에선 민정수석이 없어지고 그 일을 1급 비서관 두명이 맡아 하는 현실도 고려한 결과 같다.

수석 아닌 1급이 차관급 인사를 주무르고 대통령에게 보고하는 것은 안팎으로 이해될 수 없기 때문이다.

아무튼 金대통령은 4일 밤 김중권 (金重權) 비서실장과 6명의 수석들에게 차관급 후보들에 대한 각종 존안자료와 이력서를 검토, 1차 인선안을 만들도록 했다.

과거 민정수석이 담당한 역할중 인사.사정 등의 업무를 맡는 박주선 (朴柱宣) 법무비서관도 배석해 일을 거들었다 비서실은 5일 이 인선안을 가지고 해당부처 장관들과 의견을 교환했다.

그 결과는 곧 金대통령과 김종필 총리서리에게 보고될 예정이다.

두사람은 이번주중 협의를 통해 각 부처 차관과 외청장 인사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金대통령의 이같은 인사스타일은 YS식의 1인 독점과 비밀주의와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공개된 검증은 못하더라도 나름의 내부검증에 신경 써 자칫 인사발표 후 발생할지 모를 부작용을 최대한 줄이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