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방사선등 진료용 재료비 2월 50-60% 인상…복지부,환율연동제 실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환율 폭등의 여파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진료용 재료 가격이 대폭 오르게 돼 국민의 의료비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12일 진료용 재료의 국내 재고가 소진되기 전인 2월1일부터 가격을 환율에 연동시키는 것을 골자로 한 '환율상승에 따른 진료용 재료 수급난 해소방안' 을 마련했다.

이에 따르면 진료용 재료의 판매관리비 부분은 인상을 억제하고 수입원가 부분에만 환율상승폭이 반영되며 환율이 안정될 때까지 월 또는 분기 단위별 환율연동제가 실시된다.

복지부는 재료비중 수입원가의 비중이 판매관리비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환율인상폭이 1백%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인상률은 50~60% 수준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재료비가 50%인상될 경우 2천억원 정도의 진료비를 의료보험 재정이 추가로 떠맡게 돼 결국 보험료 인상 등을 통해 국민에게 전가될 것으로 보인다.

의료보험연합회와 대한의사협회.대한병원협회.대한치과의사협회는 이미 올 1월1일부터 방사선필름과 CT필름의 협약가격을 환율에 연동시켜 각각 74%와 80%씩 올린 상태다.

또 방사성동위원소 1백66종과 치과재료 40종에 대해서는 협의가 진행중이다.

검사.처치.마취재료 등 39종에 대한 협의도 복지부의 지시에 따라 이달중 마무리된다.

인공수정체 등 정부가 직접 가격을 결정하는 재료에 대해서도 환율상승폭을 반영해 새로운 가격을 고시하게 된다.

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