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 '박창달 체포 동의안' 반대한 의원 "자수하시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최근 열린우리당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한나라당 박창달 의원 체포 동의안 표결시 어느 쪽에 기표했는지를 고백하는 의원들의 '커밍 아웃'이 잇따르고 있다.

4일 현재 김원기 국회의장, 이해찬 총리와 이미경.김원웅.강창일.권선택.박기춘.서갑원.안민석.유기홍.이화영.정청래.정성호.홍미영 의원 등이 당시의 기표 내용을 공개했다.

투표에 불참한 김 의장과 이 총리를 제외하곤 모두 체포동의안에 찬성했다는 내용이다. 결국 체포동의안 반대의원을 색출하는 작업에 10여명의 의원이 동참한 셈이다.

이들이 투표 내용을 공개한 이유는 평당원들의 압박 때문이다. 박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 이후 열린우리당 당원들은 찬.반 어느 쪽에 기표했는지 등을 묻는 질의서를 소속 의원들에게 배포했다.

질의서에는 열성당원 246명의 지지서명도 담았다.

당원들은 질의서에 답하지 않는 의원들은 체포동의안에 반대한 것으로 간주하겠다고 했다. 의원들로서도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던 상황이다. 일부 당원 사이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필명이 '짜라투스'인 당원은 게시판에 글을 올려 "체포동의안에 반대한 의원을 찾아내면 의원 간 갈등이 생길 수 있는 등 오히려 문제가 복잡해진다"고 주장했다. "질의서에 답하는 과정에서 의원들 사이에 질시와 반목이 깊어질 것이며, 혹 반대의원이 드러나면 징계 여부를 놓고 큰 갈등이 따를 것"이라는 논리다. 체포동의안에 찬성했다고 밝힌 의원들도 대부분 "반대의원이 누구인지 발본색원하는 것보다는 이번 파장을 통해 의원들이 스스로 반성하게 하는 게 중요하다"(유기홍 의원)고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온건한 주장들은 당원 게시판에서 소수에 그치고 있다. 이번 작업을 추진 중인 당원들은 "이미 화살이 시위를 떠났다"는 반응이다. 이들은 질의서에 추가로 서명할 당원들을 모으면서 아래로부터의 압력을 강화하고 있다. 아예 이번 기회에 평당원들의 힘을 과시하겠다는 기세다.

강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