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IMF 재협상 발언의 함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당선되면 국제통화기금 (IMF) 측과 재협상하겠다는 공약을 마치 보물상자를 건져 오겠다는 장담처럼 계속 외치는 대선 후보들이 있다.

지금 우리나라 외환시장은 연일 아침에 장이 서자마자 상승제한폭인 10%까지 올라 개장 즉시 폐장이 따르는 상황이다.

원화환율은 94년 멕시코 위기때 페소화가 50%나 절하됐던 사실을 무색케 하면서 무려 1백%나 절하됐다.

미국 국제금융연구소 프레거 국장 같은 사람은 IMF협상 타결후에도 한국에서 외환공황 사태가 진정되지 않는 정도가 아니라 오히려 지금 같이 점점 더 악화일로에 있는 이유가 주요 대선후보의 이런 IMF 재협상 주장에 있다고 잘라 말했다.

그렇다면 IMF 재협상공약은 보물상자이기는커녕 재앙만 가득한 상자다.

IMF협정조건 가운데 찬성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다.

그러나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높은 후보라면 이런 찬성할 수 없는 부분 때문에 아무 다른 대안도 없이 IMF자금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도 있는 발언을 공공연히 해서는 안된다.

IMF돈이 들어온 다음, 그리고 자신이 대통령이 되고 나서 정례 협의과정에서 은밀하게 논의해야 할 일을 지금 미리 큰소리로 주장함으로써 그 돈이 아예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것은 수순이 틀려도 이만저만 틀린 게 아니다. 황차 (況且) 이런 주장을 신문광고에까지 대서특필로 싣고 있대서야 말이 되는가.

원화가 지금같이 떨어지다가는 우리나라는 결국 외국에 진 빚의 지불불능을 선언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게 된다.

이것은 6.25에나 비길 대란이고 나라의 극단적 치욕이다.

지금이라도 IMF 재협상공약을 명문 (明文) 으로 철회하는 것만이 나라를 이런 위기에서 구하려는 한줌의 노력이라도 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