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김태정 검찰총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태정 검찰총장은 21일 김대중 국민회의총재 고발사건에 대한 수사유보 발표 뒤 두차례 기자들과 만나 "비겁하지 않고 국민을 편안하게 해준다는 기준에 따라 독자적으로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고 강조했다.

- 수사유보 결정은 언제,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뤄졌나.

"처음 이 문제가 발생했을때 검찰 책임자로서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나라와 국민.검찰 조직을 위해 가장 현명한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했다.

검찰 조직등 여러 의견을 많이 들었다.

결단을 미루는 것이 혼란을 가중시키고 안정을 찾지 못하게 하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네가지 안을 생각했다.

첫째는 형평성과 공정성을 염두에 두고 전반적인 수사에 착수 하는 안, 둘째는 수사를 유보하는 안, 셋째는 일부분만 빨리 수사하는 안, 넷째는 수사에 착수하되 여러 상황을 고려해 수사일정을 결정하는 안이었다.

이 가운데 국민을 편안하게 해주고 결코 비겁한 결정은 안한다는 두가지 기준으로 보아 셋째.넷째안은 비겁한 안이라 생각했고 유보안이 국민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

- 청와대등과 사전 협의가 있었나.

"어느 누구와도 협의하지 않았고 독단적으로 결정했다. 다만 법무장관에게는 어제 (20일) 밤에 이야기했고 장관도 이같은 결정을 이해해줬다. "

- 수사기술상 대선전에 끝내기 어렵다고 했는데.

"이 사건은 수사하면 완벽한 결론을 내야 한다.

특히 한쪽만 수사할 수 없다.

야당도 당연히 고발장 (김영삼대통령에 대한) 을 내지 않겠느냐. (김영삼대통령의 대선자금을 염두에 둔 말인듯) 만약 김대중총재의 계좌 3백50여개를 압수수색한다면 다른 사람 것도 그정도 추적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

- 15대 대선이 구태의연한 모습을 보일때 수사하겠다는 뜻은 사실상 수사를 포기한 것이 아닌가.

"대선 후보는 물론 대통령 당선자라도 필요하다면 분명히 수사한다. "

- 중앙수사부장과 수사 중단 여부를 놓고 의견대립은 없었나.

"전혀 없었다. "

- 수사 중단에 대한 외부와 내부 반응은.

"기자회견 뒤 총장실로 걸려온 전화를 분석한 결과 46대6으로 지지하는 반응이 많았다는 보고를 받았다." 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