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개혁안에 종교계도 대부분 동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지난 12일 입법예고된 묘지 개혁안에 대해 유림 (儒林) 등 종교계가 대부분 동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12일 열렸던 대구지역 불교.기독교.유교등 종교지도자 토론회에서는 "현실적으로 매장보다 화장.납골쪽으로 장묘문화가 바뀌어야 한다" 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6백년간 매장원칙을 지켜온 유교계도 묘지면적 축소와 시한부 묘지제도에 동의하고 납골묘제도까지 인정하는등 종래와는 거의 1백80도 바뀐 입장을 나타내고있다.

이승관 (李承寬) 성균관 전례위원장은 "묘지가 포화상태인만큼 주자가례 (朱子家禮) 나 사례편람 (四禮便覽) 의 정신을 현대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고 말했다.

그는 다만 "유교의 정서에 맞지않는 화장을 공식적으로 권장할 수는 없다" 고 덧붙였다.

육신의 부활을 믿어 화장을 기피하는 경향을 보여온 천주교도 이번 개정안이 묘지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

개신교계에서도 최근 납골당을 만드는 사업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불교 교단은 납골당과 영탑공원 건립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원불교도 지난 5월 전북익산시왕궁면의 영모원에 대규모 납골당을 세우는등 화장.납골제도 확산에 적극 나서고 있다.

박태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