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덕기 서울시장 직무대리 체제 난항 예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조순 (趙淳) 시장이 대선출마를 위해 10일 사퇴키로 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정은 강덕기 (姜德基) 행정1부시장의 시장 직무대리 체제로 운영된다.

민선 조순호에서 관선 강덕기호로 선장이 바뀐 서울시정이 과연 순항할 수 있을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姜직무대리는 민선 趙시장이 갖고 있던 권한을 모두 행사할수 있게 된다.

시장 직무대리의 권한을 제한할 수 있는 법규가 없고 직무대리 기간이 10개월로 상당히 길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덕기호는 조순시장때와 같은 위상을 유지하기가 쉽지않을 전망이다.

무엇보다도 9월말에서 10월초로 다가온 국회 국정감사가 강덕기체제의 첫 시험대이다.

민선에서 관선으로 바뀐데다 국민회의등 야당 국회의원들이 서울시 행정에 대해 맹공격을 퍼부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시 간부들은 벌써부터 걱정이 태산이다.

게다가 시의회와의 관계도 껄끄러워 업무추진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시의회 의석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국민회의 의원들이 姜직무대리를 '친여 강성인사' 로 분류, 교체를 요구한 바 있고 연말의 예산심의나 행정사무감사등에서도 간단히 넘어가지 않겠다고 벼르고 있기 때문이다.

姜부시장은 이같은 점을 의식, 지난 8일 시 간부회의에서 "시의회와 성의있고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해 시민들에게 행정이 공전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지 말라" 고 지시하기도 했다.

또 그가 김희완 (金熙完) 정무부시장이 그대로 머물러주기를 원하는 것이나 趙시장이 펼쳐왔던 각종 시책의 일관성을 강조한 것등도 직무대리 체제가 빚을 수 있는 '시정공백' 시비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계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