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생자원봉사교실]上. 봉사고민 체험학습으로 풀어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중앙일보는 11~14일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등 6대도시에서 '중.고생 자원봉사 체험' 행사를 갖는다.

서울에서는 중앙일보가 호암아트홀에서 직접 체험교실을 열고 나머지 5개 도시에서는 각 시.도 청소년자원봉사센터와 공동주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모두 4천3백명이 참가, 각 이틀동안 지역사회에서 선진국형 '봉사학습' 을 실습한다.

그 내용을 두차례에 걸쳐 정리한다.

중학 3년생인 철수와 친구 2명은 방과후 집에 걸어 오면서 걱정에 쌓였다.

"자원봉사를 해야 하는데 무엇을 어떻게 하지? 시간도 없는데…. " "글쎄 말이야, 양로원.복지관등에 가봐야 사람이 꽉 차서 우리를 받지도 않을 거야. " "뭐 좋은 방법이 없을까. 어차피 할바에는 형식적이 아니고 보람찬 봉사활동이었으면 좋겠는데. " 중.고생이면 누구나 한번쯤 가져 보았을 고민이다.

공부에 바빠 시간이 없지만 봉사활동은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늘 만원사례인 기관.시설이 아닌 동네에서 할 수 있는 좋은 봉사활동은 없을까. 중앙일보 자원봉사사무국 (02 - 751 - 9066) 이 실시하는 '중.고생 자원봉사 체험' 교실이 바로 그 해답. 학생들이 지역사회 문제를 찾아 봉사계획을 세우고 실천.평가해 가는 과정을 교사나 기관 전문가들이 지도하고 그 시간들을 모두 봉사시간으로 인정해 주는 방법을 시도해 보는 것이다.

교사들이 학생들로 하여금 지역사회에서 봉사활동을 스스로 준비 (P) - 수행 (A) - 반성 (R) 케 지도하는 이 방법은 미국에선 80년대 중반부터 '봉사학습' (Service Learning) 이라는 이름으로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이번 자원봉사 체험은 바로 그 봉사학습 과정을 우리 학생들도 짧은 시간에 실습할 수 있게 해준다.

봉사학습 과정중 첫번째 '준비' 단계에 대한 훈련은 특히 학생들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다.

체험 교실은 학생들이 이틀중 하루를 지역사회를 돌며 스스로 문제를 발견해 목표를 세우고 봉사방법을 계획해보는 방식으로 구성했다.

이창호 전문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