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반환후의 홍콩 우리경제 영향과 대응전략 - 中華경제권 등장 (4)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중국.홍콩.대만을 아울러 부르던'중화경제권'이 홍콩의 중국 귀속으로 보다 구체적인 모습을 갖게 됐다.이같은 중화경제권의 등장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우리나라 최대의 수출시장이라는 긍정적인 면▶세계시장에서 우리의 강력한 경쟁국으로 떠오른다는 부정적인 면이 뒤섞여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홍콩 수출은 1백11억달러. 수입은 11억달러에 불과해 1백억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대홍콩 수출물량은 대부분 중국시장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된다.중국의 경우 수출 1백14억달러에 수입은 85억달러. 중국과 홍콩을 합칠 경우 우리나라 수출의 17.4%를 차지해 미국을 제치고 최대 시장으로 자리잡게 된다.특히 홍콩의 중국 귀속은 중국의 경제성장을 촉진시켜 앞으로 중국 전체의 수입수요를 늘리는 효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인들의 소득증가에 따른 소비재 수출은 물론 각종 기술의 수출도 유망한 것으로 기대된다.삼성경제연구소는“최근의 교역추세가 지속될 경우 2010년에는 이들 시장에 대한 우리의 수출의존도가 30%수준에 육박할 전망”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중국의 생산력과 홍콩의 자본.기술.관리.마케팅능력등이 합쳐지면서 시너지효과를 발휘하게 되면 고부가가치 제품을 포함한 한국 제품과의 경쟁범위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해외시장에서 우리나라와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진다는 전망이다.

㈜선경의 이영권(李永權)이사는“홍콩 반환 이후 이같은 경향이 강화되면 해외시장에서 중국과의 경쟁품목이 더욱 늘어나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유규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