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잠수함반환 결의한 강릉시의회 최종민 의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미국 진주만의 예를 보더라도 지난해 강릉 해안에 침투했던 북한 잠수함은 반드시 침투현장에 보존해 현장감있는 안보교육의 장(場)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국방부가 북한 잠수함을 용산 전쟁기념관에 전시하겠다는 결정에 반발해'북한 잠수함 반환촉구 결의문'을 채택한 강릉시의회 최종민(崔鍾珉.56.사진)의장은“국방부의 결정은 강릉을 비롯한 영동지역 주민들의 안보의식을 무시한 어처구니 없는 발상”이라며“북한 잠수함의 안인진(安仁津)리 침투현장 보존”을 거듭 촉구했다.

崔의장은“지난해 9월18일 무장공비를 태운 북한 잠수함이 강릉시강동면안인진리에 침투한 이후 한달여간 계속된 군소탕작전기간중 엄청한 생활불편과 경제적 피해를 받으면서도 투철한 안보의식을 보여준 강릉시민을 비롯한 영동지역 주민들의 노고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국방부는 용산 전쟁기념관 전시방침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崔의장은 또“북한 잠수함을 전쟁기념관에 전시할 경우 현장감있는 안보교육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으며 현재 통일원과 강릉시에서 침투현장을 중심으로 추진중인 안보사적지 조성사업도 북한 잠수함이 빠지면 알맹이없는 허울에 불과하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국방부가 현장보존을 반대하는 이유로 내세우는 잠수함 부식에 따른 비용부담에 대해서도“진주만에 2차대전 당시 부서진 군함이 부식된채 그대로 전시돼 있는 것만으로도 역사적 가치가 있다”며“원형보존을 위한 비용은 강릉시가 부담하면 된다”고 반박했다.

金의장은“북한 잠수함이 강원도 동해안이 아닌 다른 지역 해안에 침투했더라도 국방부가 이같은 결정을 내렸을지 의문”이라며“강릉시민을 비롯한 강원도민과 각급 사회단체등과 연대해 범도민차원의 북한 잠수함 침투현장 반환운동을 벌여나가겠다”고 밝혔다. 강릉=홍창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