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철강 3者인수땐 또 특혜說 청와대 새 解法에 고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보사태 수습방안을 놓고 청와대는 연일 이런저런 그림을 그리면서 해법을 찾고 있다.한보철강을 어떻게 처리할 것이냐도 윤곽잡기가 쉽지 않다.31일 이석채(李錫采)경제수석은 한보의 국민기업화 아이디어를 제시,청와대의 고심을 드러냈다. 이는 제3자 인수문제를 둘러싼 의혹설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기때문이다. 한보철강에서 정태수(鄭泰守)총회장의 손을 떼게한 뒤 제3자에게 헐값으로 넘기려 했다는.의도적 부도설'이 그것이다.그런 대가로 대통령선거를 치르는 정치자금을 청와대가 챙길 것이라는 소문이 나돈다. 鄭총회장은 검찰 소환전에“공장을 다 지으니 어디선지 몰라도 탐이 난 것같다.제3자 인수가 되면 그 사람이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했다.그의 말도 음모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이래저래 대기업이 한보철강을 인수할 경우 엄청난 특혜시비에 휩싸일 수밖에 없어 고민”이라고 지적했다.한보철강의 정상화까지는 1조6천억원 이상이 들며 이 과정에서 세금감면.부채의 이자경감등 지원조치가 불가피하다는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래서 나온 방안이 한보철강을 국민기업화하는 방안이다.이 방안에 이원종(李源宗)정무수석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구체적으로 채권은행들이 대출금의 일부를 주식으로 전환하거나 한보철강의 잔여주식을 일반에 공매하는 방안까지 검토되고 있다. 대선때 어차피 한보문제가 이슈가 될 것인데 3자인수로 또다른특혜설을 만들 수 없는 것 아니냐는 차원의 고육지책이다. 그러나 한승수(韓昇洙)경제부총리는 이를 전혀 검토한 바 없다고 부인했으나 청와대측은 그 길밖에 없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보의 제3자 인수에 따른 또다른 의혹의 불씨를 끄기 위해서는 정치논리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는 논리다. 〈박보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