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기 제적땐 '惡순환' 불보듯-후유증 클 韓醫大사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경희대.동국대.경원대등 3개 대학 총장들이 등록 마감 시한을16일에서 17일 낮12시로 연장함에 따라 한의대생 무더기 제적 사태는 일단 늦춰졌지만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일단 제적을 피하자는 심정에 등록하는 학생.학부모들이 늘고 있지만 16일까지 등록 거부한 학생들이 1천7백여명에 달하고 전국한의과대학학생회연합(전한련)은 여전히 등록거부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등 강경 학생.학부모들이 많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가능한 많은 학생을 구제한다는 차원에서 등록 마감시간을 17일 낮12시로 연장하는 것은 양해하겠지만 대학측이 17일 낮12시 이후엔 미등록자를 제적시킨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을 경우 행정.재정적 불이익을 주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대학측이 교육부의 행정.재정 제재를 감수하고 교육부와의약속을 파기하면 학생들은 구제될 수도 있다.
무더기 제적 사태가 현실로 나타날 경우 학생들은 6개월 이내에 강제 징집당할 가능성이 커 다시 입학시험을 치르지 않는 한복학할 수 있는 길이 멀어진다.
제적당한 뒤 한 학기가 지나면 재입학할 수 있지만 학생들이 군에서 제대하는 2~3년 뒤에는 이미 정원이 충원돼 학생들이 복학할 여지가 거의 없을 것이 뻔하다.
또 학생들의 무더기 제적으로 한.약 분쟁이 더욱 악화되면서 학생들의 교외 투쟁,한의인력 공급 차질등 사회문제로 번지는등 사태가 더욱 수렁속으로 빠질 전망이다.
등록한 학생들이라 해도 앞으로 제대로 수업을 받을지 의문이어서 2학기 대학가에 큰 불씨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학생들이 계속 수업을 거부한다면 지난달말 학칙 개정때 「3학기 연속 유급이면 제적」으로 고쳤던 동국대.경원대는 내년초 또 다시 무더기제적사태에 직면하게 된다.
더구나 전국한방수련의연합이 『미등록학생들에 대한 선별 제적을강행할 경우 17일부터 전면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혀 한방 진료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
이와 함께 이미 연속 유급으로 내년초 한의과대 졸업생이 한명도 없어 한방병원들이 당장 내년 상반기에 수련의 선발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본과 1~3학년까지 무더기 제적당할 경우 앞으로 몇년동안은 한의사 공급이 어려워지게 된다.결국 이 같이 3년째꼬리를 물고 이어져 내려와 최악의 사태를 맞은 한의대 사태는 정부 차원에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지 않는 한 끝없는 소모전으로 계속 치달을 전망이다.
오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