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봅시다>2년간 임금동결 비상조치 필요-서상목 의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고비용에 짓눌리는 한국경제의 신음이 높아져만 가는 요즘 여권에서는 『지금 특단을 내려야 한다.늦어지면 망한다』는 경고음이곳곳에서 솟구치고 있다.
한국개발원(KDI)부원장 출신으로 3선인 신한국당 서상목(徐相穆)의원은 대표적인 「위기론자」다.그는 9일 열린 당 의원세미나에서도 2년간 임금을 동결하고 2년내로 금리를 낮춰 구조적질환을 고치자는 「2년 위기관리론」을 주창했다.
-내년에 대선이 있는데 정부의 임금동결 결단이 가능하겠습니까. 『실명제에 버금가는 특단을 내려야 합니다.사실 제가 당 제2정조위원장으로 있을때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취임직전 「집권초기에 실명제와 함께 2년간 임금동결을 해야 한다」고 건의한 적이 있어요.경제정책담당자들로부터 「문민정부로서 어 떻게…」라는 지적이 있어 채택되지는 않았지요.하지만 더는 늦출 수 없어요.대통령과 당,새롭게 바뀐 경제팀이 그런 정치적 결단을 내려야지요.』 -임금을 어떻게 강제적으로 묶을 수 있을까요.
『우선 金대통령이 귀국하는대로 3급이하 공무원의 임금도 동결하는 과감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물론 공무원을 설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정부가 짜야지요.30대그룹의 동결을 예정대로 실천하고 국영기업체 직원의 봉급도 묶고… 사회 전체 적으로 고통을 같이 분담한다는 점을 납득시켜야지요.』 -금리문제는 어떤 특단이 필요합니까.
『우선 현재 12~13%에 달하는 금리를 2년내에 5~6% 수준인 런던은행간 금리(LIBOR)까지 끌어내리겠다는 정책목표를 정해야 합니다.금리를 낮추려면 외국 돈이 국내에 들어와 돈이 풍부해지게 만들어야지요.한꺼번에 완전히 푸는 것이 어렵다면설비투자용 자금에 대해서만이라도 개방해야 합니다.』 -정부는 『그렇게 하지 못하는 사정이 있으니 맡겨달라』(韓昇洙경제부총리)고 하는데요.
『물론 정부로서 물가를 걱정하고 원화의 평가절상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겠지요.하지만 그런 단기적 사정에만 매달리면 아무런일을 할 수 없어요.일정기간 물가가 영향을 받더라도,또 원화가절상되더라도 경제에 칼을 대야지요.통화량 조절 책을 잘 쓰면 외국 돈을 들여와도 괜찮습니다.아울러 은행들도 과감한 합병을 통해 경쟁력을 키워야 합니다.』 -평의원으로서 이런 주장의 실현가능성에 한계를 느끼지 않습니까.
『우리 당에서 나오는 의견을 종합해 金대통령이 돌아오면 건의를 하자고 이홍구(李洪九)대표에게 얘기했습니다.金대통령은 결단을 내릴 수 있는 지도자라고 봅니다.눈앞의 사정보다 나라의 미래가 중요하지 않습니까.』 김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