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識문명의 도전과 대학改革'심포지엄-국.공립대학의 발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새로운 지식정보사회의 도래와 세계경제의 변화에 직면해 대학의나아갈 방향 정립과 실천적 결단이 필요한 시기다.대학들이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고,그 변화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달라져야 할 것인가.4일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전국 국.공립대 교수협의회와 사립대 교수협의회 연합회가 공동으로 개최하고 중앙일보사와 KBS가 후원한 「지식문명의 도전과 대학개혁-새로운 대학모형의 모색」 심포지엄 주제발표 내용을 지상중계한다.
[편집자註] 정부는 대학이 세계 수준의 인력을 배출하고 훌륭한 연구업적을 축적할 것을 요구하면서 재정지원이라는 당근과 채찍으로 대학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재정운용권과 인사권을 모두 정부에 의존하고 있는 국.
공립대학은 이러한 요구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훌륭한 인재와 연구업적이 배출되기 위해서는 현재 대단히 미약한 수준에 있는 국고지원이 획기적으로 확충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다고 재정지원만으로 휼륭한 대학이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훌륭한 대학은 개성이 있는 학문체계를 보유해야 하는데 이는특색있는 대학문화의 바탕위에서만 가능하다.
우리 대학은 한편으로는 선진학문을 따라잡기 위해 수월성을 추구해야 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정체성을 가진 새로운 학문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2중적 과제를 안고 있다.
이같은 2중적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연구여건 개선에 덧붙여 대학의 자율성이 신장되지 않으면 안된다.자율성의 보장없이 자기정체성에 기반한 고유한 학문체계의 건설이나 독특한 대학문화의 활성화는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국.공립대학에서 자율성과 대학자치를 위한 기구는 대학평의원회 혹은 교수평의회다.그러나 현재 이 기구를 중심으로자율성을 확보해나가는데는 법적 지원 미비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있다. 자치를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와 함께 대학발전에 필수적인것은 재정확보며 대학재정은 국가적 차원에서 마련돼야 한다.대학의 발전을 이루는데 있어서 지역사회의 도움도 필수적이다.
그러나 중앙정부의 재정부담을 지자체에 이관하려는 시도는 지자체의 재정자립도가 열악한 현재 상황을 고려할 때 재고돼야 한다.
김인걸 서울大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