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대중교통 이용등 시민협조가 중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서울지역의 경우 최근 자동차 증가에 따른 질소산화물과 오존오염이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85년만 해도 아황산가스와 먼지가 서울 대기오염의 주류였다.
그러나 청정연료 보급확대등으로 아황산가스는 85년 0.056에서 95년 0.017으로 현격히 낮아졌다.
먼지도 입방당 2백㎍에서 10년새 85㎍으로 개선됐다.
그동안 질소산화물은 오히려 0.029에서 0.032으로,오존은 0.009에서 0.013으로 각각 악화됐다.
7월말 기준 서울의 자동차는 모두 2백12만7백20대.
이들 자동차가 바로 서울시의 움직이는 공해주범인 셈이다.
이에따라 정부와 서울시는 최우선적인 오존대책으로 자동차 배기가스를 줄이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질소산화물 배출허용기준을 98년과 2000년 두단계로 나눠 강화하고 있다.경자동차의 경우 현행 ㎞당 1.5에서 0.62으로 대폭 강화된다.이를 위해 98년부터 자동차 정기검사 항목에 질소산화물도 추가된다.
또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저공해차의 보급을 확대해 우선 내년중서울에 10대를 운행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발전용 내연기관과 열병합발전시설.소각시설에 대한 질소산화물 기준도 99년까지 최고 1백50%까지 강화할 계획이다. 이같은 오존 원인물질의 규제.관리와 함께 대기오염예보제도 내년 7월1일부터 실시하고 경보장치도 현재의 30회선에서 1백회선으로 보강해 시에서 동사무소까지 직접 전파할 계획이다.
이에앞서 우선적으로 8월중 매일 오존오염이 시작되는 오전9시부터 3시간동안 서울시내 전지역에서 자동차배출가스 집중단속을 실시,위반차량은 최대 50만원의 과태료를 물리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민들의 협조다.
현재의 오존경보제는 직접규제가 아닌 권고방식인데 시민들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실효가 없는 것이다.
결국 자가용 승용차보다 지하철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서울의 오존오염을 줄이는 지름길이다.
탁병오 서울시환경관리실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