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국내로 번진 중국발 멜라민 공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멜라민 공포가 남의 일이 아님이 확인됐다. 중국에서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제작·수입된 국내 유명 제과업체의 쌀과자 등 2개 제품에서 멜라민이 검출된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중국산 유제품이 함유된 과자·빵·초콜릿·사탕 등 428개 제품을 수거해 검사하던 중 드러난 사실이다. 검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얼마나 더 많은 제품에서 멜라민이 추가로 나올지 알 수 없다.

멜라민 분유로 인한 사망 사건이 처음 보도된 11일만 해도 당국은 ‘해당 분유가 국내에 수입되지 않았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그러다 유제품 함유 가공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지적이 빗발치자 17일에야 검사에 착수했고, 멜라민 검출 제품이 나온 뒤 부랴부랴 수입금지 조치를 내린 것이다. 식의약청은 “앞으로 수입되는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해 수입단계 검사를 강화해 불량 식품의 수입을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국민들은 기가 막힐 따름이다. 최근 몇 년 새 중국산 식품 안전사고가 빈발하는 동안 무얼 하다가 이제야 검사를 강화한다는 건가.

이번 사태와 관련, 식품안전 관리를 나눠 맡은 농림부와 식의약청이 서로 책임을 전가하다 늑장 대응을 한 측면은 없는지도 묻고 싶다. 현재 식육류와 유제품 등은 농림부가, 기타 가공식품은 식의약청이 소관 부처로 돼 있다. 멜라민이 들어간 분유는 농림부, 그 분유가 들어간 과자류는 식의약청이 담당인 것이다. 그러다 보니 대처에 혼선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 중국산 버터에 대한 조사는 농림부가, 과자류 조사는 식의약청이 맡고 결과 발표도 따로따로 하는 형국이다. 이래서야 국민이 먹거리 안전을 믿고 맡기기 힘들다.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하든, 담당 부처를 일원화하든 식품안전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정부 내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업계도 차제에 중국 내 생산시설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길 바란다. 직영 공장이 있는 나머지 업체들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소비자들의 염려가 큰 만큼 이중·삼중으로 점검을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