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YTN은 노조 것이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국내 유일의 보도 전문 케이블 채널인 YTN의 노사 갈등이 통제 불능 사태로 치닫고 있다.

지난 7월 이명박 대통령 대선 캠프의 언론특보 출신인 구본홍 사장이 취임한 이래 노조가 “권력에 의한 방송 장악 음모”이자 “낙하산 인사”라며 극한 투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 현 사태의 핵심이다.

무엇보다 노조는 물리력을 동원해 사장의 출근을 막고 있다. 구본홍 사장은 취임 62일에 이른 17일까지 사장 집무실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노조는 16일 방송 사고까지 일으켰다. YTN ‘뉴스의 현장’ 생방송 도중에 노조원들이 기습적으로 메인 스튜디오에 들어와 시위를 벌인 것이다. ‘YTN 접수 기도 낙하산은 물러가라’ 등의 피켓과 시위 장면이 뉴스 진행자의 배경화면으로 몇 분간 방영됐다. 방송국 종사자들이 뉴스 생방송 도중에 의도적으로 시위를 벌이는 사상 최초의 방송사고가 벌어진 것이다.

노조는 인사 불복종 투쟁도 벌이고 있다. 신임 사장의 인사 조치에 불복하고 새 부서로 출근하지 않는 노조원이 23명이나 된다. 총파업 투쟁을 결의한 노조는 지국별로 단체 휴가를 내는 연가투쟁도 시작했다.

YTN은 노조와 노조원의 회사가 아니라 코스닥에 상장된 민간기업이다. 다만 한전KDN 등 정부 투자기관과 공기업이 대주주라는 점에서 정부가 사실상 인사권을 행사할 뿐이다. 기업의 주주총회에서 선임한 사장을 그들 자신의 명분에 맞지 않는다며 불법 투쟁을 벌이는 것이 옳은 행태인가.

YTN은 보도 전문 채널이라는 특성상 일반 기업에 비해 공공성과 책임성이 더욱 요구되는 건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대선 캠프 출신 인사를 사장으로 앉힌 것은 잘된 인사가 아니라고 본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노조의 행위가 정당화될 수는 없다. 노무현 정권의 코드 인사는 괜찮지만 이명박 정권의 캠프 인사는 안 된다는 노조의 논리 역시 졸렬할 뿐이다. 지금의 YTN 사태는 사회 전체의 준법 의식을 해치는 노조의 불법 투쟁일 뿐이다. 정부와 YTN 사장은 회사를 정상화할 획기적인 조치와 대책을 시급히 강구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