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 종합유선방송국 허가 CATV업계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종합유선방송국(SO)이 다른 SO를 매입,소유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공보처의 계획이 지난21일 공식발표되자 케이블 TV업계는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다.이번 발표로 그동안 물밑에서 진행돼온 SO매입 움직임도 가속화할 전망이다.
복수 종합유선방송국(MSO)허가방침에 대해 서울시내 한 유선방송국 사장은 『지금의 중소기업형 SO로는 97년 SO개방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다』며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큰 가닥은제대로 잘 잡았다』고 반겼다.
그는 『이번달 초부터 시작된 공정거래위원회의 내부거래 조사도사실상 무의미해져 그동안 소문 속에 진행돼온 대기업들의 SO매입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SO업계에서는 그동안 경영난 등을 이유로 주식거래 금지기간(97년까지 3년간)을 어기며 암암리에 SO의 소유권 이동이 물밑에서 진행돼온 게 공공연한 비밀.
업계관계자들은 대기업 계열사인 H사(12개).S사(10개).
D사(5개)등 3개사가 전국 54개 SO가운데 상당부분을 이면계약형태로 이미 소유했다는 소문에 이의를 달지 않는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기업 관계자는 『솔직히 그동안 이면계약 등의 형태로 SO매입이 진행돼 왔다』며 『이번 정부발표로 매입움직임은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MSO 허용으로 SO의 매입가도 치솟고 있다.당초 자본금 25억~60억원대의 SO 실거래가는 최고 4배이상 뛴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케이블방송의 삼각축을 이뤄왔던 PP(프로그램공급업자).SO.NO(전송망업자)간의 분할구도도 점차 깨질 것으로 보인다.우선 SO의 영향력 확대로 PP에 대해 SO가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할 전망이다.
대자본의 PP매입 움직임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H사의 K채널 매입설이 그 예다.자본력이 약한 PP들은 누적 적자로 골치아픈 경영권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업계 일각에서는 MSO로 대자본의 전면 SO장악 가능성이 높아 졌다며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또다른 유선방송국 사장은 『MSO 허용엔 원칙적으로 찬성』이라면서도 『재벌의 SO전면 장악은 공정방송에 해가 될 수도 있는 만큼 정부가 제도적 보완책을 함께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무부서인 공보처의 한 관계자는 『정부 방침은 공정거래와 방송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하는 것』이라면서 『구체적인 내용은 공청회와 입법과정에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방송개방화가 심화되면 MSO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수직적 복수소유,즉 PP의 SO소유도 허용할 방침』이라고말했다.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