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 - 시민단체 通하는 사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민주노동당과 시민단체들이 서로 빠르게 다가가고 있다.

23일 주요 시민단체는 민노당과 손발을 맞추기 위한 본격 채비에 들어갔다. 민노당 수뇌부도 곧 주요 시민단체를 돌 예정이다. 민노당-시민단체 간 공조체제가 뼈대를 갖추기 시작한 것이다.

주요 시민단체가 망라된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는 지난 22일 오후 서울 정동 성프란체스코 회관에서 상임운영위를 열고 민노당과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연대회의에는 경실련.환경운동연합.여성연합.문화연대.YWCA 등 353개 시민단체가 속해 있다. 운영위원장인 환경운동연합 서주원 사무총장은 "민노당의 국회 진입이라는 새로운 상황 속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협력할지 구체적인 방법을 찾기로 했다"며 "이를 위해 다음주 중 내부 워크숍을 열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정기적이든 부정기적이든, 민노당과 시민단체들 간의 정책협의가 이뤄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노당 측 발걸음도 잦아졌다. 당 수뇌부와 당선자들은 다음달 초 한국노총.참여연대.환경운동연합 등 주요 시민사회단체를 순방키로 했다. 당의 외연(外延)을 넓히는 동시에 시민단체들의 지원을 보장받기 위해서다. 이재영 정책국장은 "이들 단체의 요구를 수렴하는 동시에 협력방안도 논의할 것"이라며 "어느 단체를 어떤 순서로 방문할지는 의원단 회의에서 결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당 안팎에선 한국노총과 어떤 대화가 오갈지 주목하고 있다. 한국노총은 민노당의 토대인 민주노총과 함께 노동계를 양분해온 노동단체다. 이 때문에 민노당과 한국노총 간의 협력이 강화되면 될수록 노동계의 과제였던 민주노총.한국노총 간의 통합도 수월해질 공산이 크다.

게다가 지난 총선에서 한국노총이 내세운 녹색사민당이 의석 확보에 실패, 공조 여건은 더 무르익은 것으로 민노당 안팎에선 본다. "한국노총이 자신들의 정책을 관철하기 위해 민노당을 활용하려 할 것"이란 논리에서다.

아울러 녹색사민당 출범 이전, 일부 한국노총 간부들 사이에서도 "굳이 창당할 게 아니라 민노당을 지원하자"는 의견도 적잖았던 터여서 양측 간의 협력이 예상보다 훨씬 원활해질 수 있다.

李국장은 "한국노총은 방문대상 중 최우선 순위로 꼽힌다"며 "통합문제가 직접 거론될지는 미지수나 정치적 공조는 논의될 게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남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