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에 여객정류장 건립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그린벨트내에 버스공용차고지를 건설키로 했던 서울시가 당초방침을 변경,그린벨트내 9~10곳에 총면적 10만평규모의 여객정류장을 짓는 사업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자연훼손」논란이 재연되고있다. 서울시는 8일 은평지역 일대에 버스공용차고지를 마련하기위해 수색동294의1,4만2천9백85평방의 그린벨트지역을 여객정류장으로 도시계획시설을 바꾸기로 했다.
이와함께 지난 3월 그린벨트내에 공용주차장용으로 허가받은 도봉동341 버스공용차고외에 강동구하일동.관악구신림동등 그린벨트내 7~8곳에도 권역별로 1만평내외의 여객정류장을 짓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지난달 건설교통부에 여객정류장법 개정을건의,여객정류장을 주차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을 요청했다.서울시가 이같이 변칙적으로 여객정류장건설을 추진하는 것은 그린벨트내 부지를 주차장용으로 승인받을 경우 차고지로서 갖춰야 할 주유소.운전사숙소.부대시설 등을 세울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그러나 환경단체들은 여객정류장으로 승인날 경우개발과 인구집중이 불가피해 환경파괴가 가속화된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서울시관계자는 『당초 그린벨트 훼손을 막기 위해 단순히 주차장 용도로만 행위허가를 낼 방침이었으나 주유소.식당.숙소등 부대시설과 매표소.매점도 조성하기 위해 여객정류장으로 추진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