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노인병' 체계적 대책 급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노년인구는 점차 증가일로를 걷고 있다.전반적인 삶의 질적 개선이 몰고온 파장때문이기도 하다.
그 결과 오늘날의 인류는 장수시대로 가는 시대적 조류를 타고있다.그것은 우리나라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보건복지부의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의 노령인구가 90년에는 5%에 지나지 않던 것이 2000년에는 6.8%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렇듯 노년인구가 증가하자 그 연장된 세월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혹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나타나게 마련인 노쇠를 어떻게이겨낼 것인가 하는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등장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것이 노인병에 대한 대책이다.
수명은 늘어났지만 건강하게 여생을 보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노인병 가운데서도 치매는 거의 완치가 어렵고 또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들의 희생까지도 강요하는 것이어서 사회적 경각심도 높다. 특히 종래 치매의 유병률이 6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서 대략 5~7%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80년대 후반의 연구들에서는 이같은 수치를 훨씬 웃돌고 있어 경종을 울리고있다. 현재 노년인구의 10%정도가 노인성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도 노인성 치매를 나이가 들면 누구나 겪어야 할 당연한 노화과정의 일부로 인식하는 풍조가 만연돼 있다는데 있다.
특히 치매노인의 인구수조차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한 것이 오늘날의 우리 현실이다.
노인병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이 미비한 가운데 우리나라의 보건행정에서 치매는 아직도 노화과정의 일부로 생각되고 있다.그래서치매노인에 대한 부양은 전적으로 가족이 책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말할 것도 없이 고령인구 증가추세에 따라 치매 노인수도 늘어가는 현실과는 크게 괴리돼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제는 이처럼 장기치료가 요구되는 노인병의 경우 사회전체가 그 부담의 일부를 감당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보건복지부는 올해안에 노인성 치매 요양소를 만들겠다고 한다.
그러나 차제에 정부가 좀더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노인병 대책 마련에 나서주기를 촉구한다.
地萬浩 노인병건강연구소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