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성 “‘기다려달라’ 日언론 플레이에 청와대 말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요미우리 보도로 촉발된 ‘기다려달라’ 공방은 일본의 언론플레이일 수도 있다. 청와대가 이에 말리고 있어 문제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및 반환 요구와 관련해 요미우리가 지난 5월 보도한 ‘이명박 대통령, 독도명기 기다려달라고 했다’는 기사에 대해 청와대가 ‘일본의 언론플레이’라고 주장하자 민주당 최재성 대변인이 이같이 지적했다.

최 대변인은 16일 오전 8시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요미우리 보도가 오보였을 수 있지만 일본 언론의 인용보도는 그동안 관행으로 봐서 100% 사실일 수 있다”며 “이 대통령과 일본을 함께 방문했던 이동관 대변인은 당시 아무 대응을 안하고 있다가 어제 ‘그런 말을 들은 것으로 사료된다’고 말한 것은 일본 언론 플레이에 청와대가 말리는 것”이라고 혹평했다.

최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만약 이런 이야기를 듣고도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면 묵인에 해당되는데 이는 국제법상 중요한 패소의 원인이 된다”고 덧붙였다. 최 대변인은 “요미우리 보도 당시 민주당은 ‘만약 이 대통령이 기다려 달라고 말했다면 이는 독도 포기를 선언하는 것이기 때문에 탄핵감’이라고 말했었다”며 “후쿠다 총리의 말을 듣고 묵묵부답을 했어도 이는 국가원수 자격에 굉장히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힐난했다.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회담 내용 공개 요구’에 대해선 “공개하면 독도는 국가간의 분쟁이 될 것이고 일본의 전략에 말리게 되는 것”이라며 “공개 여부가 그동안의 관례와 실익에 부합되지 않는 측면이 있어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의 외교전략 부재에 대한 지적도 빼놓지 않았다.

최 대변인은 “권철현 주일대사가 ‘독도 문제는 낡은 과제다. 아예 대응을 하지 않겠다’고 한 부분이나 이 대통령이 ‘사소한 문제에 천착하지 말라’고 한 부분이 일본에 정치적 편의를 제공한 꼴이 됐다”며 “정부의 외교전략은 너무 즉흥적이고 준비가 돼있지 않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정부의 입장은 다르다. 요미우리 보도에 대해 일관된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동관 대변인은 지난 13일 일본 교도통신이 ‘정상회담에서 후쿠다 총리가 독도 영유권을 해설서에 명기하겠다는 통보를 했다’고 보도하자 “통보를 받은 적이 없다”고 부인했었다. 15일 기자와의 브리핑에서는 “일본 사정도 어렵지만 대통령 말씀은 잘 알겠다는 취지의 사정 설명을 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두 정상이 회동했을 땐 해설서 기술 방침이 결정돼 있지 않았다"며 "이 대통령으로부터 한국의 입장에 대한 설명이 있었고, 후쿠다 총리는 일본 국내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고 전해 이 대변인의 말에 힘을 실었다. ‘말을 바꿨다’는 최 대변인의 지적에 대해 이 대변인은 “공당의 대변인이 인터넷에 난 기사를 보고 논평을 내 ‘말을 바꿨다’고 하는 정치 풍토는 곤란하다”고 불편함을 표시했었다.

이지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