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종 '홀로서기'한계 느낀듯-신한국당 입당배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박찬종(朴燦鍾)전의원이 마침내 주사위를 던졌다.신한국당(가칭)행을 택한 것이다.그로서는 모험이 아닐 수 없다.
우선 그에 대한 대중적 지지가 유지될지가 관심이다.그의 인기는 김영삼(金泳三).김대중(金大中).김종필(金鍾泌)3金씨에 대한 도전을 통해 축적된 것이다.그는 정당정치에 거부감을 느끼는무당파(無黨派)유권자들의 표에 의존해왔다.그런 朴씨가 정당,그것도 여당에 몸담으면 과거의 지지자들이 그의 선택을 비판없이 수용할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기존의 지지자들이 정치인 박찬종이 아니라 박찬종의 「3金청산」구호에 박수를 쳤다면 그의 기반은 급속히 허물어질 가능성이 있다. 朴씨가 신한국당에서 얼마나 적응할지도 문제다.그는 당내의 다른 중진들에 비해 불리하다.세가 없기 때문이다.따르는 의원이나 지구당위원장 없이는 운신이 어렵다.
그에 대한 대통령의 지원이 있을 수도 있다.하지만 여권을 통솔해나가야 하는 대통령이 한쪽으로 기울기는 말처럼 쉽지않다.더구나 그는 조직생활에 적합하지 않은 스타일이라는 평도 받고 있다.물론 朴씨라고 이를 모를리 없다.그러면서도 신 한국당행을 감행한데는 몇가지 원인이 있을 것 같다.당주변에선 우선 무당파의 한계를 지적한다.그는 낙승이 예상되던 서울시장선거에서 정당의 견제에 고배를 마시고 말았다.거품과도 같은 개인적 인기에 연연하면 대망을 이룰 수 없다고 판단했 을 수 있다.
신한국당에 마땅한 대통령후보감이 없다는 점을 노렸다는 분석도있다.총선후에는 본격적인 대권후계구도 논의가 여권내부에서 벌어질 때 자신도 여기에 끼어야겠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金대통령이 주도한 개혁으로 여당의 이미지가 과거와 달라진 점도 朴씨의 선택에 영향을 미쳤을 것 같다.여권의 개혁은 밖에서개혁과 변화를 주장해온 朴씨를 난처하게 만든 측면이 있다.
그는 백의종군 의사를 밝혔다.조건이나 지분을 따지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본 것같다.
앞으로 관심사항은 신한국당에서의 朴씨의 위치.그는 신민당의 공동대표까지 했던 5선의원 출신이다.일반 영입인사와 동격으로 처리하기는 어렵다.당주변에서는 선거대책위의 위원장에 준하는 자리가 마련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있다.
김교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