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전라고 6회 재경동창회, 정기·산행·번개모임 합쳐 1년에 25~26번 만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전주 전라고 6회(1976년 졸업) 재경 동창회는 자신들의 졸업 기수에 맞춰 매년 6월 6일 ‘쌍륙절 행사’를 한다. 2006년엔 대관령 목장과 오대산 월정사, 지난해엔 단양 8경과 충주호, 올해엔 강원도 속초를 다녀왔다. 모든 행사에 빠지지 않고 참석하며 ‘기록자’를 자청하는 최영록(51·성균관대 홍보전문위원)씨는 이를 ‘추억의 수학여행’이라고 소개했다. 올해 수학여행에는 부부 51쌍, 싱글 13명, 자녀 4명 등 총 119명이 참석했다. 미국으로 이민 간 황의찬(51·사업가)씨 부부도 32년 만에 동창회에 참석했다.

최씨에 따르면 전라고 6회 졸업생은 모두 417명, 그중 20여 명이 세상을 떠났다.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150여 명은 2000년에 동창회 카페를 만들어 본격적인 동창회 활동을 시작했다. 친한 친구끼리 만나기는 했지만 나이 40을 넘기면서 전체 모임의 필요성을 느꼈다. 매년 두 차례 정기모임(신년 하례식·쌍륙절)에 월례 산행모임, 거기에 한 달에 한두 번꼴로 서울시내 곳곳에서 산발적으로 열리는 번개 모임까지 합해 1년에 25~26차례 얼굴을 본다. 기뻐서, 슬퍼서, 재혼해서, 승진해서 등 번개 모임의 이유도 다양하다.

2006년엔 졸업 30주년을 맞아 『쉰둥이들의 쉰이야기』라는 문집도 발간했다. 학창시절의 추억부터 군대 간 아들에게 전하는 글까지 폭넓은 주제의 50여 편이 빼곡히 담겨 있다.

부부 동반으로 참석하던 부인들은 급기야 자기들끼리 ‘전라여고’라는 가상의 학교를 만들었다. 이들은 “머지않아 ‘전라여고 동창회’가 결성되는 것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한다.

최씨는 “비슷한 입맛과 언어, 정서를 공유한 이들이 턱 없는 편안함을 느끼며 끊임없이 삶의 화제를 나누는 것이 우리 동창회의 비결”이라고 말했다.

[J-hot] "반갑다 친구야" 4050 왜 동창회 열광하나

[J-hot] 동창회 성공 열쇠 쥔 총무가 밝힌 활성화 비법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