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니아 청소년 전쟁 후유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포성이 멎은 보스니아의 청소년들이 심각한 전쟁후유증을 앓고 있다.보스니아내 회교계와 세르비아계.크로아티아계간의 갈등으로 인해 청소년들간에는 다른 집단에 대한 분노와 증오심이 깊어지고있다.이 때문에 AP등 서방 언론들은 이 청소년 들을 「잃어버린 세대」라고 부르고 있다.
수도 사라예보에서 서쪽으로 50㎞ 떨어진 인구 2만4,000여명의 고른지 바쿠프.이 지역은 크로아티아군과 보스니아 회교정부군이 치열하게 접전을 벌였던 곳이다.
이 지역의 크로아티아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크로아티아의 언어.
역사를 공부한다.그러나 호텔을 개조해 만든 인근 회교계 학교에서는 보스니아어로 코란 구절들을 열심히 읽는다.전쟁전 양쪽 학생들은 옛유고의 교과과정에 따라 똑같은 내용을 공 부했다.
전쟁이 끝난 지금도 학생들 마음속에는 여전히 전선(戰線)이 자리잡고 있다.
『아이들 마음속에는 지금 두 나라,두 역사책,두 생각이 있습니다.아이들은 서로를 상대로 해 경기하려 하지 한 팀을 만들려고 하지 않습니다.』 이 곳에 주둔중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군 소령 버치 메이콕의 이야기다.
아이들은 서로를 동반자가 아닌 적대자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보스니아에서는 이처럼 각 집단이 청소년들을 함께 교육시키면서 서로 공통점을 찾아 내기보다 별도의 교육과정을 운영함으로써내전의 상처를 더욱 깊게 하고 있다.
중학교 교장인 자히드 세히크는 『서로를 이해하고 하나가 되려하지 않으면 보스니아는 하나의 국가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다.통합 교과과정을 운영해야 한다는 논리에 반대하는 사람은 없으나 현재로서는 이것이 불가능해 보인다.
열여덟살의 지야다는 『우리집을 불태우고 형제를 죽인 그들과 어떻게 같은 교실에서 공부하고 함께 뛰어놀 수 있겠느냐』고 반문한다. 부모들 또한 서로 죽고 죽였던 원수의 아이들과 같은 교실에서 공부하는 것을 허락지 않고 있다.
보스니아군에서 2년간 복무한 후 학교로 돌아온 스무살의 레피크 하다로비크는 『아마도 2~3년이 지나면 예전처럼 지낼 수 있을지 모르지만 지금은 아니다』고 말한다.
염태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