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복 투자 피하고 지역 특색 갖춰야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65호 18면

“마리나를 건설하겠다는 지방자치단체들의 계획이 다 이뤄진다면, 그건 다 같이 죽는 걸 의미한다.”

해양레저도시가 성공하려면

해양레저 전문가들은 최근 지자체들이 앞다퉈 해양레저도시를 건설하려는 움직임에 반가움만큼이나 우려를 표시한다. 계획의 상당수가 자치단체장들의 업적 쌓기용 일회성 이벤트로 분석된다. 전국적인 수요도 계산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복투자도 불가피하다. 여기에 환경단체들은 해안의 자연환경이 파괴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큰 그림을 그리고 정책을 펴지 않으면, 최근 일고 있는 해양레저도시 건설 붐은 ‘한여름 밤의 꿈’으로 그칠 것이라는 데 한 목소리를 낸다.

부경대 지삼업(해양스포츠산업과) 교수는 “지금의 해양스포츠 발전 속도로 보면 마리나는 아무리 많아도 전국적으로 10개 미만이어야 한다”며 “국내 해양스포츠 시장이 선진국 수준으로 활성화하려면 앞으로도 최소 20년은 걸릴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지금은 중앙정부가 예산의 절반을 지원하는 소수의 ‘거점 공공 마리나’를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해양레저산업이 대중화할 때까지는 수익이 나지 않더라도 중앙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얘기다.

지역별 특성에 맞게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도 많다. 서울대 신종계(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요트와 같은 경우는 목포에서 놀다가 경남으로 가서 정박할 수도 있는 것 아니냐”며 “지역의 특색을 최대한 살리되, 지자체별로 이를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웃한 지자체끼리 협력을 강화할 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다는 설명이다.

용인대 김천중(관광경영과) 교수는 “해양레저도시라고 해서 벽돌 찍듯이 똑같은 걸 찍어내서는 승산이 없다”며 “처음부터 제대로 하지 않으면 미국·영국 등 선진 요트산업국의 시장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해양레저산업도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관련 산업도 고루 갖춰져야 한다. 신종계 교수는 “장비와 마리나 시설, 서비스 산업 이 세 가지가 동시에 유기적으로 발전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소규모 사업자들이 적극적으로 시장에 뛰어들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