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정책은 유화적 … 인사는 강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부가 최근 들어 잇따라 북한에 유화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남과 북은 그동안 대화와 교류 협력을 꾸준히 이어 왔고,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지만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6·15 선언, 10·4 선언을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과거 10년의 남북 관계에서 성과도 있었음을 우회 표현했다는 점에서 이전과는 뉘앙스가 달랐다.

대북 정책의 주무부처인 통일부의 김하중 장관은 오는 12일 사단법인 김대중 평화센터 주최로 서울에서 열리는 ‘6·15 남북 공동선언 8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는 방안을 긍정 검토 중인 것으로도 알려졌다.

행사 관계자는 “김 장관에게 초청장을 보냈다”며 “김 장관이 참석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귀띔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참석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했지만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말해 여운을 뒀다.

이에 앞서 김 장관은 지난 4일 내·외신 브리핑에서 북한에 옥수수 5만t을 지원하기로 하고 3주 전에 접촉을 제안했다고 공개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가 보인 이 같은 대북 유화 제스처와는 달리, 통일 교육을 담당하는 통일교육원장에 2000년 6·15 공동선언을 용공 이적행위라고 주장해 온 강경 보수 인사를 내정한 것으로 알려져 정책과 인사가 충돌한다는 논란을 빚고 있다.

문제의 인사는 통일부 소속인 통일교육원장(1급) 자리. 현재 홍관희 안보전략연구소장이 1순위 후보다. 정부의 소식통은 “행정안전부의 심사 절차가 남았지만 홍 소장이 1순위 후보라 현재로선 차기 원장으로 유력하다”고 말했다. 홍 소장은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할 때인 2005년 ‘민족정론’ 5~6월호에 기고한 글에서 6·15 공동선언을 “북한의 적화통일 방안을 수용하였다는 점에서 용공 이적행위”라고 규정했다.  

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