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봅시다>민자 5.18특별법제정 사령탑 현경대 의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민자당은 5.18특별법 제정의 사령탑으로 율사출신 3선의원인현경대(玄敬大)의원을 특별법 기초위원장에 임명했다.27일 玄의원은 다소 상기된 표정으로 『법리논쟁의 소지를 안고있는 특별법의 기초를 맡게돼 어깨가 무겁다』고 말했다.그■ 면서도 그는 관심의 초점인 공소시효에 대해 『시효가 지나지 않았다는 입장에서 대응할 수 있다』고 의욕을 보였다.다음은 일문일답.
-법안의 핵심과 명칭은.
『의논해봐야 겠다.당 총재인 대통령의 「5.17쿠데타로 훼손된 국가와 민족의 자존심을 되찾아야 한다」는 지침이 있으니 그내용이 입법방향이고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법 제정 일정은. 『이번 회기내에 처리해야 하니 늦어도 내주초 국회에 제출할 생각이다.』 -헌법재판소 결정이 법 제정에 영향을 주지 않나. 『특별법과는 논리적으로 상충되지 않는다.지난7월 검찰은시효가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공소권 없음」결정을 내렸다.그러므로 설사 시효가 연장돼도 검찰이 같은 입장을 견지하면 처벌이불가능하다.따라서 헌재가 검찰 결정이 부당하다는 결 정을 내릴것이고 그에 따라 처리하면 된다.』 -헌재가 위헌판결을 내려도특별법이 필요하느냐는 의견이 있는데.
『공소시효 문제가 남아있다.내란죄가 적용되는 기산일에 대해 최규하(崔圭夏)전대통령 하야일(80.8.16),5공화국 대통령취임일(81.3.3),계엄해제일(81.1.24),국보위 활동 종료일(80.10.27)등 네가지 다른 견해들이 있다.따라서 이를 입법으로 명쾌하게 해결한다는 의미가 있다.』 -공소시효가지나 소급입법에 따른 위헌주장이 있는데.
『공소시효가 지나지 않았다는 입장에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전두환(全斗煥).노태우(盧泰愚) 두 전직대통령 이외의 처벌대상 범위는.
『내란죄와 관련해 주범과 종범관계가 아니라 공범관계라는 관점에서 다뤄질 수 있는 문제다.물론 사실관계에 따라 형량이 달라질 수는 있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