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문화특수성 인정해야 갈등 해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해방 50주년을 맞은 올해에도 한.일간 역사인식의 차이가 정치적 현안으로 대두되는 상황이다.이런 가운데 지난 18일 동국대와 일본의 붓쿄(佛敎)대.다이쇼(大正)대 주최로 「한일문화교류의 역사와 전망」이란 주제의 한.일문화포럼이 ■ 본 교토시 국제교류회관에서 열렸다.지금까지의 한.일문화교류를 반성하고 이후 교류의 과제를 전망하는 자리였다.
이날 포럼에서는 문화적 차이를 없애려는 노력보다 상대의 문화적 특수성을 적극적으로 인정함으로써 오히려 갈등을 없앨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끌었다.
이날 한국측 발표자중 한 사람인 동국대 박물관장 홍윤식교수가발표한 「한.일 문화구조의 상이점 이해와 그 전망」이라는 글이그것. 이날 『양국 문화구조의 상이점을 이해해 나가지 않는다면외교문제나 문화교류에서도 바람직한 기대는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 홍교수는 한국문화가 종합적.총체적 문화구조를 지니고있는 반면 일본문화는 개별적.분석적 문화구조를 지니 고 있다고설명했다.
그는▶한국의 통(通)불교와 일본의 종파(宗派)불교▶한국의 신라이후의 중앙집권과 일본의 가마쿠라(鎌倉)시대 이후 정치제도의분권화▶양국의 건축문화 및 음식문화에서의 차이 등을 예로 들면서,결과적으로 이러한 문화적 차이가 서구문화의 수용태도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홍교수는 21세기 정보화.국제화 사회에선 일본의 개별적.분석적 사유방식보다 한국의 종합적.직관적 사고양식이 더욱 필요하게될 것이며 두 나라의 문화적 특수성의 융합(融合)이 양국간 차이를 극복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김창호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