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평가>국회의원 평가 기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지난해 의정활동 평가와 국정감사 평가에 이어 국회의원들의 성적표를 매겼다.
지방선거 출마등으로 사퇴한 의원 8명을 제외하고 현재 의원직을 유지하고 있는 2백91명의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했다.
평가기준은 크게 원내 활동과 주민의견 수렴도.입법준비활동.대외활동.기타 정치활동으로 나누었으며,국회활동에 가장 큰 비중을두었다. 〈세부 평가기준은 표 참조〉 올해는 지난해 기준을 좀더 다듬었다.당직.국회직.정부직을 맡거나 대정부질문을 할 경우상임위 활동이 상대적으로 부실해질 수 있어 가점을 줬다.
상임위 활동을 지켜본 공무원들의 평가도 더했다.의원 연구모임활동과 주요 이슈에 대한 지도력도 평가했다.
도덕성을 평가하기 위해 재산 불성실 등록을 감점하려 했으나 비밀보호규정 때문에 자료를 입수할 수 없어 제외했다.
특히 민자당의원들은 당정협의를 통해 사전에 정부측에 의견을 제기하고,실질적인 입법을 한다는 점에서 가점을 줬다.
객관적 기준을 세우기 위해 김호진(金浩鎭.고려대 노동대학원장.前한국정치학회장).이정복(李正馥.서울대 정치학).신정현(申正鉉.경희대.차기 한국정치학회장)교수등에게 자문하고 사후 평가도받았다. 지난해 평가의 연속선상에서 지난해 9월 정기국회부터 올해 8월까지를 기준으로 했다.
현재 의원직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해 국민회의의 이해찬(李海瓚).박지원(朴智元)前의원과 민자당의 이인제(李仁濟)前의원등은 높은 점수에도 불구하고 제외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