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도 ‘자전거 교통 혁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도심 내 교통 혁신을 겨냥한 ‘퍼블릭 바이크(공공 자전거)’가 인천에 본격 도입된다. 인천시는 교통체증·대기오염·고유가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시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어디로든지 자전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퍼블릭 바이크를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지금까지의 자전거 도로 확장 일변도의 정책에서 실질적인 자전거 이용 활성화로 방향을 튼 것이다.

퍼블릭 바이크는 200∼300m 거리마다 대여·보관소를 세우고 공공 예산으로 자전거를 공급해 시민들이 손쉽게 자전거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파리 등 유럽 도시들에서 시작됐다.

인천시는 우선 다음달부터 연수·부평구청을 대상으로 ‘관공서 업무용 자전거제’를 시범 실시한다. 2개 구에 공공 자전거 200대씩을 구청·동사무소·보건소 등에 비치해 공무원들의 관내 출장 시 자전거를 이용토록 한다는 것이다. 또 가천의과대학과 GM대우를 ‘자전거 시범 직장·학교’로 지정, 다음달부터 100대씩의 공공 자전거가 국·시비로 공급된다. 이 자전거들은 대학·회사 및 인근 지하철역 등에서 대여·보관된다.

일반 시민들을 위한 본격 퍼블릭 바이크는 내년 상반기에 첫선을 보인다. 연수구의 선학역∼문학터널 간 비류길 2.5㎞에는 올해 말까지 보·차도와 완전히 구분되는 자전거 전용도로가 완공된다. 또 부평역∼GM대우 구간에도 차로를 줄여 자전거 통행만 허용되는 전용도로가 건설된다. 자전거 전용도로는 이 밖에 월미도(6㎞)와 강화도(2.4㎞)에도 올해 말까지 완공된다. 이용자는 발급받은 카드를 200m마다 설치된 보관소의 카드 리더기에 읽힌 뒤 자전거를 인출할 수 있고, 자전거를 이용한 뒤에는 목적지 근처의 보관소에 다시 맡기면 된다. 이때 자전거 이용 기록은 자전거에 설치된 RFID(무선 인식) 장치와 보관소에 부착된 전송 장치를 통해 중앙센터에 보내져 이용요금 등이 추후 청구된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에도 퍼블릭 바이크를 전면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이를 위해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국제업무단지 개발업체인 NSIC는 송도국제도시 내부 교통체계를 공공 자전거 위주로 개편하기 위해 도시 건설 과정에서부터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정기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