假.借名예금 파문확산-뭉칫돈 이동 가속화 예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전직 대통령이 4천억원대 비실명 비자금 때문에 고심하고 있다는 서석재(徐錫宰)前총무처장관의 발언은 당장 주식시장엔 악재지만 채권금리쪽으로는 오히려 안정을 가져다 주고 있다.이번 파문이 내년부터 시행되는 금융소득 종합과세를 앞두고 거액자금 이동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고,은행권은 이번 사태가 은행에 대한 관계기관의 검사와 자금 이탈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관계기사 26.33面〉 시중은행의 한 감사는 『4천억원이 있다면 은행 예금보다 제2금융권의 CD.채권등에 잠겨있을 가능성이 크다』며 『정부가 4천억원에 대해 직접 검사하지는 않겠지만 이번 기회에 편법 차.가명 예금을 집중검사할 가능성은 있다』고 내다봤다 .
그러나 제2금융권에서는 당분간 거액 자금이 눈에 드러나는 이동을 삼갈 것으로 보고 있다.중앙투자금융의 손완식(孫完植)이사는 『거액 자산가들은 20억~30억원 단위로 계좌를 쪼개놓는데이번 파문이후 움직임이 거의 없다.정부가 큰 부 담을 져가면서거액계좌를 조사하기는 어려워보이는 만큼 당분간 조용한 상태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동서증권의 최정식(崔晶植)이사는 『설령 4천억원정도 자금의 실체가 드러난다해도 자금시장을 뒤흔들 만큼의 큰 규모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분위기를 반영하듯 실세금리를 대표하는 은행보증 3년만기 회사채 유통금리는 비자금설이 알려진 3일 0.06%포인트 내린데 이어 4일 다시 0.10%포인트 하락하며 연13.80%에 마감,연중최저치를 경신했다.91일물 양도성예금 증서(CD)도 지난 이틀간 0.15%포인트 하락하며 연13.65%에 마감,역시 연중최저치를 경신했다.
반면 주식시장은 뜻밖의 악재로 고전하고 있다.이번 파문으로 당분간 거액의 자금이 숨을 죽이면 그만큼 자금유입이 늦어지기 때문이다.
〈경제.증권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