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광고 특정언론 불이익 없앤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11일 언론사 주관 행사에 대한 정부 협찬이나 국정홍보 광고매체 선정을 각 부처 자율에 맡기기로 했다.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주재로 17개 부처 대변인이 정부 중앙청사 국무위원 식당에서 조찬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특정 매체에 공직자의 회견이나 기고를 금지하던 노무현 정부 시절의 방침도 폐지하기로 했다. 부처 기자실 정상화 방침에 이은 새 정부 ‘프레스 프렌들리(Press Friendly)’ 정책의 후속 조치다.

간담회에 참석한 대변인들은 정부가 기자실 제공 및 정책 브리핑 등 취재편의를 최대한 제공하되 기자실 운영방식은 언론 스스로 정해 관행으로 정착시키는 게 바람직하다고 입장을 정리했다.

정부 관계자는 “참여정부 시절 정부 광고매체 선정 등에서 특정 언론사를 배제 또는 우대해 왔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는 철저히 시장원리에 따라 효율성을 최우선 기준으로 고려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무현 정부는 국정홍보처의 ‘정책홍보 업무처리에 관한 기준’(2005년)과 ‘국정홍보 업무 운영규정’(2007년) 등을 통해 정부에 비판적인 언론에 대한 공무원의 인터뷰나 기고 등을 사실상 금지했다. 또 비판 언론에 대해 정부·공기업 광고 게재와 행사 협찬 등을 제한해 신종 언론탄압이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

이에스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