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연대 “당 복귀는 당연한 절차”, 한나라 “순수 무소속만 받을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는 탈당한 뒤 출마한 친박 후보들에게 “살아서 돌아오라”고 말했다. 이번 총선에서 그의 메시지는 현실이 됐다. 친박연대와 무소속으로 흩어졌던 30명 가까운 친박 인사들이 ‘살았다’. 이제 이들에게 남은 건 “돌아오라”는 메시지다. 총선 이후 한나라당 탈당파들의 복당 문제가 여권 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살아난 친박 인사들은 박 전 대표의 주문대로 한나라당에 무사 복귀할 수 있을까.

당장 친박 무소속 연대는 복당 문제를 쟁점화하고 나섰다.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친박 인사는 모두 12명. 이들의 리더 격인 김무성(부산 남을) 의원은 10일 “잘못된 공천에 따라 벌어진 일들이 원상 회복돼야 한다. 아무 조건 없는 복당을 신청하고 한나라당에 들어가는 것이 우선 목표”라고 밝혔다.

김 의원을 중심으로 한 친박 무소속 연대는 11일께 한나라당에 복당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무소속 친박 인사인 유기준(부산 서) 의원은 “복당을 전제로 선거운동을 했고 국민들의 선택을 받은 만큼 한나라당으로 돌아가는 건 당연한 절차”라고 말했다.

14명의 당선자를 배출한 친박연대 측도 복당을 추진 중이다. 홍사덕(대구 서) 선대위원장은 “총선이 끝났으니 복당 절차에 착수할 것”이라며 “한나라당으로의 복당은 신청하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친박연대와 친박 성향의 무소속 당선자들은 자신들의 복당이 이뤄질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무엇보다 한나라당이 아슬아슬한 과반 확보(153석)에 그쳤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은 복당 과정에서 공동 보조를 취할 방침이다. 서청원 친박연대 공동대표는 “친박 무소속 당선자들과 연합해 복당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친박연대 측은 비례대표 의석을 유지할 수 있는 당대 당 통합을 주장하고 있다. 친박연대와 친박 무소속 당선자들은 11일 박 전 대표를 만나 복당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들의 복당 과정이 순탄할지는 미지수다.

한나라당 내부 의견이 분분하다는 게 첫 변수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서 “무소속이든 친박연대든 해당 행위를 한 사람들의 복당을 허용하긴 힘들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이 우선 특정 계파에 매이지 않은 ‘순수’ 무소속 당선자 영입에 나서기로 한 것도 변수다. 영남과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이름이 거론된다. 한나라당이 순수 무소속들의 대거 영입에 성공하면 친박연대 등의 효용가치가 떨어질 수도 있다.

물론 당 지도부를 중심으로 친박연대와 친박 무소속 인사들을 선별 영입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강재섭 대표는 이날 “(친박 인사의 복당 문제는) 이런저런 점을 고려해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선거운동 기간 중 “복당 절대 불가”란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것이다.

◇몇 명이나 되나=박 전 대표 측에 따르면 지난해 경선 때 40명 수준이었던 친박 의원들이 이번 총선에서 5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친박연대(14석)와 친박 성향 무소속(12석)을 비롯해 당내 인사(32명) 등을 포함한 수치다. 김무성 의원은 “우호적 인사를 포함하면 친박 성향의 당선자는 73명”이라고 주장했다.

정강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