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무보수로 일하겠다더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지난 6.27 지방선거때는 말도 많았고 공약도 많았다.
많은 유권자들은 상당수 의원후보들이『당선되면 무보수로 일하겠다』고 한 공약을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이 말에 유권자들은 반신반의(半信半疑)하면서도「신선한 충격」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개표가 끝나고 당선증을 받아든 의원들의 마음이 달라진모양이다.
등원하자마자 의원들은 활동비와 회의수당.여비지급에 관한 조례개정안을 심의하면서 자신들의「본색」을 드러냈다.
제주도의회의 경우 다수 의석을 확보하고 있는 민자당과 민주당.무소속이 연합으로 의장을 내놓는등 파란을 거듭한 끝에 열린 운영위의 첫 작품은 의원들의「보수」를 규정하고 있는 조례안 처리문제. 「원안대로 가결하느냐,보류하느냐」를 놓고 논란 끝에 결국 가결되긴 했지만 의원간에도 뒷맛이 개운치가 않았던 모양이다. 일부 의원들이 의정활동 축소를 운운하며 시.도의장단협의회에서 거론하자는 의견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날 가결된 지방자치법시행령 조례개정안에 따르면 의원들은 매달 의정자료수집.연구비 50만원과 보조활동비 10만원등 60만원을 정액지급받게 돼 있다.또 회의수당(하루 6만원)과 본회의또는 위원회 운영에 따른 경비로 1인당 1백만원 씩 사용할 수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도의원들은 연간 회의일수를 다 채울 경우 1천5백만원정도 받을 수 있게 된다.더구나 의원들은 겸직도 가능하다.
그런데도 상당수 의원들이 이같은 액수에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심지어 지난번 의회에서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을 때도 무조건일비가 지급된 것 자체가 부당해 감사원으로부터 지적받았는데도 이번 회기부터 회의에 불참할 경우 회의수당이 지급되지 않는 조항이「잘못」이라며 불만을 토로하는 정도다.
의원들 모두 선거과정에서 지역일꾼으로 봉사하겠다던 그때의 마음가짐을 뒤돌아 보아야하지 않을까.
[濟州=高昌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