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경쟁력있는 은행만들기 고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현재 의회에는 은행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세가지의 법률안이 제출돼 있다.하원 은행위원회 위원장과 상원 은행위원회 위원장,그리고 클린턴 행정부가 각각 제출한 것이다.
하원 은행위원회 위원장인 짐 리치의원이 제안한 법안은 실망스럽기 짝이 없는 것이다.
이 법안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감독아래 은행지주회사에 증권 자회사의 설립을 허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법안은 동위원회가 91년에 승인한 내용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15년전만 해도 은행에 대한 증권업 허용여부가 관심거리였으나 이 문제가 여러가지 현안중 하나가 돼버린 지금 이 주제는 이미 빛을 잃고 말았다.
행정부가 낸 법안도 이보다 조금 나을 뿐이다.이 법안은 은행의 지주회사나 자회사로 하여금 증권업 뿐만 아니라 보험업무도 허용하는 것으로 돼 있다.
그러나 이 점을 제외하면 행정부안도 리치안과 별반 다를 게 없다.은행을 지배하는 회사가 다양한 활동을 벌이려면 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등 복잡한 규제시스템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리치법안이나 행정부안 모두 본질적인 규제완화를 위한 문제점들을 회피하고 있는 것이다.결국 의회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은행을 지금 그대로 버려 두든지,아니면 일반기업과의 합병을 허용하든지 둘중 하나가 될 것이다.상원 은행위원회 위 원장인 알다마토의원이 제안한 법안이 이런 쪽이다.
이 법안은 은행업과 일반상업을 구분하려는 의도를 철저히 배제한다.은행이 어떤 기업과 합병하는 것도 허용한다.또 은행과 합병한 증권사나 보험사에 대해서는 非합병 증권사.보험사와 똑같은당국의 규제를 받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 법안은 탈(脫)규제를 통해 은행이 새로운 비은행상품을 만들고,금융상품이든 비금융상품이든 마음대로 만들도록 할 것이다.
이것은 은행권에 묶여 있던 자본을 더 높은 수익이 날 곳으로 이동시키게 만들 것이다.
급속하게 변하는 경영환경속에서 이런 경영방식만이 은행을 경쟁력있게 만들고,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