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는 지구촌의 공동번영-선진화.국제화와 무엇이 다른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세계화는 무엇인가.종래의 선진화나 국제화와 어떻게 다른가.세개념 모두 우리나라를 남이 부러워하는 잘 사는 나라로 만들자는데는 뜻을 같이하고 있으나 정도나 수단이 다른 것인가.
세계화는 원래 기업경영이 세계경제를 겨냥할 때를 두고 사용하는 말이다.그리고 선진화나 국제화는 한 나라나 사회가 더 나아지고「열릴」때를 일컫는 말이다.따라서 한 나라의 새로운 모습을「세계화」로 그려내려면 과거와는 다른 더 넓은 의 미로 봐야 한다. 세 개념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한 나라의 힘과 생각이 밖으로 미치는 범위와 강도,즉 세계성(世界性)과 적극성으로 가늠할 수 있다.선진화.국제화.세계화는 한 단계가 끝나면 다른 단계로 넘어가는 식으로 진행되기 보다 동시에 벌어지는 경 우가 많다.또 한 나라 안에서도 부문별로는 진행정도가 다른 경우가 더 많다.그러나 선진화보다는 국제화가,또 국제화보다는 세계화가세계성이나 적극성이 더 강하다고 봐야 한다.
▲기본이념=한 나라가「사람」을 제일(第一)로 보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애쓰는 것을 선진화라 하면 국제화는 한 나라와 다른나라가 더불어 잘 살기 위해 나라들이 경쟁속에서 협력하는 것을말한다.이보다는 더 적극적인 세계화는 한 나라 가 속해 있는「지구촌」이 잘 되는 것이 그 나라가 잘 사는 길이란 이념에 바탕을 두고 있다.
▲정부의 정책방향=한 나라의 변화는 제도를 바꾸는 것으로부터시작된다.한 나라를 선진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나라안에서 만이라도 자율과 창의가 꽃필 수 있도록 공정하고 자율적인 제도를 심어야 한다(여기서 공정은 모든 개인이나 기업에 같은 기회를 줌을 뜻한다).개개인과 개별기업이 능력을 발휘하는데 거추장스러운정부규제가 없어져야 함은 기본이다.
국제화는 이러한 공정한 제도를 다른 나라와의 관계에서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그래서 한 나라를 국제화하는 것에는 국가간경쟁과 협력이 공정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나라를 밖으로 개방하고또 각종 제도를 다른 나라에서도 통하는 제도와 맞춰가는 것이 포함된다.
세계화는 한 나라가(국제사회에서의 입지를 넓혀가기 위해)자체의 힘과 다른 나라와 맺은 국제관계를 바탕으로 국제외교나 경제협력 관계를 새로이 만들어가는 과정을 일컫는다.따라서 그 나라뿐 아니라 국제사회가 잘 되는데 나름대로 기여할 책임도 따르게된다. ▲국제규범과 국내제도=선진화나 국제화는 세계속에서 그 나라의 위상때문에 정해진 국제규범이나 관행을 그대로 받아들이거나 혹은 그 나라의 제도나 관행을 국제규범에 맞춰가는 과정을 의미한다.반면 세계화는 국제규범을 그저 받아들이고 거기 에 맞춰가는 단계에서 국제규범을 새로이 또 나서서 만들어 가는 단계로 바꾸어 간다.
▲기업경영=선진화된 나라에서의 기업경영은 나라안의 자율경쟁 여건속에서 치열한 경쟁을 통해 스스로 경쟁력을 키워간다.그러나국제화된 나라에서는 경제활동에 관한한 나라간 장벽이 없어진 가운데 나라 안팎에서 외국기업과 공정하게 경쟁함으 로써 국제경쟁력을 키워 살아남기 위해 애쓰게 된다.
이에 비해 기업경영의 세계화는 더 광범위하게 통합된 세계경제를 염두에 둔 것이다.따라서 개별기업은 세계에 널려있는 인적.
물적 자원을 마치 기업내부의 자원으로 여기고 이를 가장 잘 활용하고 여기서부터 얻는 이득을 가급적 늘리려고 애 쓰게 된다.
▲국민의식=선진화된 사회는 그 사회를 이루고 있는 사람들이 각자 권리를 주장하면서도 이에 상응하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사회를 일컫는다.국제화된 사회는 국제사회에서 나름대로의 자리매김을 하면서 동시에 다른 나라와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열린사회를 말한다.
세계화된 나라의 국민은 그 나라의 힘과 정신적 유산을 바탕으로 세계문화와 사회발전에 나름대로 기여하겠다는 마음의 다짐을 하는 국민을 이야기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