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 신청지 현장 실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재정경제부 경제자유구역 평가단이 25일 대구 등지에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신청지에 대한 현장 실사를 벌였다.

 정부평가단은 이날 오전 인터불고 호텔에서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도지사로부터 총괄 설명을 들은 뒤 국제패션디자인지구(이시아폴리스)와 경산학원연구단지(청통·와촌IC 주변), 구미디지털산업지구(구미 국가4단지 주변) 등을 차례로 돌아봤다. 김관용 지사와 김범일 시장은 현장 실사를 하는 3시간 내내 평가단과 함께 버스에 탑승해 평가위원들로부터 깊은 인상을 받았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달말 대구와 구미·경산·영천 등 모두 10개 지구 34.7㎢를 ‘지식창조형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정부에 신청했었다.

 특히 대구시와 경북도의 지식경제자유구역안은 기존의 물류 중심 경제자유구역과 차별화해 교육·의료·문화산업 등 지식 서비스 중심의 외자 유치지역으로 모두 10개 특구로 나눠져 있다

 대구경북연구원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이 지정되면 69조∼99조원의 생산 증가가 이뤄질 뿐만 아니라 28조∼58조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있으며, 13만∼17만명에 이르는 새 일자리도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재정경제부 평가단은 지역 현장 실사에 이어 내부 평가를 거쳐 다음달 중 전국 2, 3곳(대구·경북 이외에 경기 평택, 충남 당진, 전북 군산·새만금, 전남 목포·무안, 강원 삼척·동해 등 5개 지역이 경합)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추가 지정할 방침이다.

송의호 기자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대구-구미-경산-영천을 연결해 각종 규제를 풀고 과감한 인센티브를 주는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자는 것. 전문가들은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돼야 지역의 투자 유치 여건을 개선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대구·경북이 지구 지정을 신청한 뒤 지역 상공인 4500여 명이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정부에 건의하는 서명에 동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