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플루토늄 밀수배후 북한說?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지난5월 플루토늄 밀수혐의로 체포된 독일인 무기밀매상 아돌프예클레가 북한의 요청에 의해 핵물질 구입을 시도했다는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紙의 26일자 보도로 북한의 핵물질 밀수혐의는 더욱 짙어졌다.
특히 예클레가 핵물질 입수를 위해 1억달러까지 사용할수 있는위임장을 북한으로부터 받았다는 물증까지 수사기관이 확보함으로써북한의 핵물질 밀반입,나아가 핵개발 의혹은 이제 단순한「혐의」차원을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
독일에서 최근 잇달아 적발된 핵물질 밀수사건의 배후에 북한,혹은 이라크같은 국가가 있다는「상식에 근거한」추측들이 있었지만독일 수사기관에 의한 이같은「물증」의 확보는 북한이 핵무기개발을 위한 핵물질 확보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 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물론 이같은 보도가 수사기관의 공식 발표에 근거한 것이 아니고 정보소식통을 인용보도한 것이어서 액면 그대로 받아 들이기에는 아직 다소의 무리가 없지 않다.그러나 그간 핵개발과 관련한북한의 일관된 집념,그리고 북한 핵시설의 용량등 을 감안할 때북한의 핵물질 반입시도는 어렵지 않게 추론해 볼수 있다.
북한의 7개 신고핵시설은 지금까지 어떤 형태로든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감시,또는 북한입장에서는「방해」하에 있었다고 할수 있기 때문에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려 했다면「핵물질 확보」라는 또 다른 경로에 신경을 썼으리라는 추론은 자연스럽다.때문에 IAEA주변에선 북한이 핵물질 생산 핵심시설인 5㎿ 원자로나 방사화학실험실,그리고 핵폐기물저장소등에 대한 완전한 사찰을 허용한다해도 북한핵의 투명성은 여전히 장담할수 없다는 주장들이 있어온게 사실이다.바로 이번과 같은 제3의 루트를 통한 핵물질 확보 가능성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번 보도는 제네바 北美합의 이후 對北 경수로지원문제와 2개 미신고시설에 대한 특별사찰을 골자로 하는「과거」북한핵의 투명성 뿐만 아니라 이같은 제3의 루트에 대한 투명성 확보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셈이다.
이 작업은 국제적 공조,특히 현재 핵물질밀수의 온상으로 지적되고 있는 舊蘇聯이나 독일과의 적극적인 외교협력을 전제로 하는것이다. [베를린=劉載植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