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네트>9.자료압축및 내려받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하이텔이나 천리안과 같은 PC통신망에서도 큰 자료를 전송할 경우에는 원래의 자료를 그대로 전송하기보다 먼저 pkzip,arc, lha등의 압축 프로그램을 이용해 압축한 다음 압축파일을 전송한다.인터네트의 많은 자료들 또한 압축된 형태로 저장돼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PC의 도스에서와 마찬가지로 인터네트(정확히는 유닉스)에서도 파일의 확장자는 파일에 대한 나름대로의 정보를 제공한다.그러나 PC의 도스에서는 파일의 확장자가 세글자로 제한되어 있는 것과 달리 인터네트에서는 파 일의 확장자에 대한 제약이 별로 없다.
PC의 압축 프로그램인 pkzip,arc,lha등은 하나의 파일을 압축해주기도 하지만,여러개의 파일을 압축할 경우에는 먼저 하나로 묶어준 다음 압축한다.유닉스에서는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어주는 기능과 파일을 압축하는 기능이 분 리되어 있다.유닉스에서 여러개의 파일을 묶어주는 명령은 tar(Tape Archive)라고 하는데 테이프로 백업을 받을 때 사용되므로이러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tar명령을 이용하여 묶어진 파일을묶음파일(tarfile)이라고 하며 tar라는 확장자를 가진다.이러한 묶음파일을 풀기위해서는「tar-xvf filename. tar」라고 명령을 내리면 된다.한편 묶음파일을 풀기전에 그 내용을 확인하려면 tar-tvffilename.tar라는 명령을 사용한다.
유닉스에서 실제 압축은 Compress라는 명령을 사용한다.
이 명령에 의해 압축된 파일은 Z라는 확장자를 가진다.이러한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는데는 uncompress filename.Z라는 명령을 사용한다.
인터네트에서 볼 수 있는 많은 파일들은 압축과 묶임이 함께 되어 있는데 filename.tar.Z처럼 tar.Z의 확장자를 가진 경우가 제일 많고 그 외에 tgz,tar.gz등의 확장자를 가진 경우도 볼 수 있다.이런 경우에는 먼 저 uncompress나 gzip명령을 사용해 압축을 해제한 다음 tar명령을 이용해 묶음을 풀면된다.또는 zcat란 명령을 이용해 「zcat filename.tar.Z:tar xvf-」하면 한번에 원하는 파일을 얻을 수 있다.
인터네트의 파일들을 자신의 PC로 전송받기 위해서는 파일전송프로그램이 필요한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kermit와 Z모뎀이다.kermit는 속도가 느리지만 안정적이고 Z모뎀은 속도가 빠르고 이어받기가 가능하지만 시스템에 따라 불안정한경우도 있다.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시스템에서(유닉스 시스템이라고 가정하자)Z모뎀을 이용해 자신의 PC로 자료를 전송하고자 한다면「sz -b filename」라하면 된다(여기서는 -b는이진파일의 전송을 의미한다).그다 음에 자신의 PC로 돌아와 Z모뎀을 수행시키면 된다.이야기 사용자의 경우에는 PgDn키를눌러 Z모뎀을 선택한다.
유닉스의 kermit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시스템 프롬프트에서kermit란 명령을 내린다.그러면 C-kermit〉란 프롬프트가 나오는데 이진파일을 전송하고자 한다면 「set file type binary」라고 지정해 준다.실제 파 일 전송은 C-kermit〉프롬프트에서 put filename라고 명령을 내리면 된다.그 다음에 Z모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PC로 돌아와 kermit를 선택하면 전송이 시작된다.앞에서 지적했듯이 PC파일의 확장자는 세글자를 넘을 수 없으므로 전송받을 파일의이름을 지정할 때 주의해야 한다.愼 重 炫 〈美조지아工大 박사과정〉 …………………………… 〈10회「私設전자게시판(BBS)」은 8월15일(月)자 32面에 싣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