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중학생 전국 학력평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내년부터 전국의 모든 중학생은 1년에 두 차례씩 학력평가 시험을 치르게 된다. 학년 초인 3~4월 중에는 진단평가를, 학기 말인 12월 중에는 성취도 평가를 치르는 방식이다. 중학교에서 전국 단위의 학력평가 시험을 도입하기는 처음이다.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회장 공정택 서울시교육감)는 5일 경남 창원에서 간담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중학생 학력평가 실시 방안'을 발표했다. 공 회장은 "중학생들의 학습능력 진단과 실력 향상을 위해 전국 단위의 시험을 치르기로 16개 시.도 교육감이 합의했다"며 "시험이 원활히 치러질 수 있도록 내년 예산에 학력평가 건을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는 전국 단위 학력평가에 필요한 비용 등을 연구해 12일 정식으로 협의회를 열고 학력평가 실시 방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협의회는 학교.지역별 학력평가 결과를 공개할지 여부도 논의할 예정이다.

이 같은 시.도 교육감들의 방침은 평준화 정책으로 학생들의 실력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지난달 말 전국 시.도 교육위원회 의장협의회가 "정부의 평준화 정책을 비판하며 교육 자율권을 보장해 줄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한 이후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현재 고교생들은 각 시.도 교육청이 주관하는 수능시험 형태의 전국연합 학력평가를 1년에 4~6회 치르지만 중학생들은 전국 단위의 학력평가를 보지 않는다. 시.도별 평가도 1997년 서울시와 광주광역시 등이 고입 연합고사를 없앤 이후 대부분 폐지됐다. 서울의 경우 중학교 학력평가는 전교조 등 교원단체와의 교섭사항에 해당돼, 서울 시내 중학생 중 10%만 표집해 1년에 한 번 치르고 있을 뿐이다.

교원단체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전교조 정애순 대변인은 "공교육이 앞장서 학생들을 '시험기계'로 만들려는 비교육적 정책을 도입하려 한다"며 반발했다.

한국교총 한재갑 대변인은 "지역 간, 학교 간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정확한 평가는 필요하지만 학생의 인적사항 등 자료 공개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