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봉제 우회수출도 차질-美.EU,개도국 쿼타제한 적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동남아에 진출해 선진국시장에 우회수출을 하고 있는 국내 섬유.봉제업체들의 해외투자전략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美國.유럽연합(EU)이 개도국에 새로 쿼타제한을 적용해 韓國.日本.臺灣등의 우회수출을 억제하고 있는데다 현지업체의 생산기술이 높아져 외국기업에 배정되는 쿼타물량도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대한무역진흥공사에 따르면 美國이 최근 미얀마産 스커트.파자마등 지금까지 쿼타제한이 없었던 섬유제품에 대해 일방적으로 쿼타를 새로 설정하는 바람에 이 지역을 美國에 대한 우회수출기지로 삼고 있는 세계물산.(주)대우등 국내업체들의 수출물량이 줄어들게 됐다.
美國은 또 中國의 섬유쿼타를 줄이거나 실크제품에 새로 쿼타제한을 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中國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의 수출길도 좁아질 가능성이 커졌다.
또 베트남의 경우 현지 생산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EU로부터 받은 쿼타를 자국업체들에 우선 배정하고 韓國기업을 비롯,외국기업에는 셔츠.재킷등 자국업체들이 많이 생산하지 못하는 일부 품목만 나눠주고 있다.
이밖에 스리랑카에 진출한 업체들도 쿼타배정물량이 적어 제품처리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들 국가들은 내수시장이 크지 않아 제3국으로의 수출이 막힐 경우 생산된 제품이 재고로쌓이게 돼 기업들의 자금회수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업체들은 웃돈을 주고 현지기업의 쿼타를 사들이거나 현지기업과 합작.제휴계약을 맺는가 하면 아예 생산라인을 非쿼타품목으로 바꾸는등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貿公 張幸福동북아과장=쿼타제한이 가해지는데다 개도국의 자체생산량이 늘어나 우회수출기지를 목표로 삼는 해외진출은 재검토돼야 할 단계가 왔다.이미 진출해 있는 업체들은 日本.중남미등 非쿼타지역 시장을 개척하든지 쿼타물량이 많은 현지 기업과 합작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근본적으로는 값싼 노동력에 의존하기 보다는 기술향상을 통한 고부가가치상품으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
〈南潤昊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