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호 목적 「ISO 18000」 등장/국내업계 대응책 시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96년 시행… 인증 없이는 교역불가/업종 아닌 「기업」대상 “또 다른 장벽”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최근 지구환경보호 목적으로 기업들의 환경관리체제·능력·서비스·활동성과 등을 평가,인증하는 ISO 18000시리즈제도를 채택해 국내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제도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ISO 9000시리즈와 마찬가지로 96년부터는 국제적으로 인증취득이 강제되는 등 교역의 필수적인 요건으로 채택될 예정이어서 이에대한 국내기업들의 준비와 대응노력이 시급한 상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ISO는 갈수록 다양해지는 주요 국가들의 환경관련 규정과 표준을 통일시킨 국제인증을 만들기위해 지난 6월 환경분야기술위원회(TC 207)를 설치하고 최근에는 이를 ISO 18000시리즈(가칭)라고 명명,95년말까지 분야별 기준을 마련해 96년 1월1일부터 시행키로 결정했다.
인증의 내용은 ▲환경보호를 위한 기업의 목표,관리체제 ▲환경영향의 통제능력 및 감시체제 유무 ▲상품별 환경기준 및 소비자의 불만에 대한 대처활동 ▲환경을 고려한 제조공정의 유무 등을 평가하는 것으로 현재 영국·네덜란드·프랑스 등 선진 주요국가들의 환경관련 기준이 크게 반영될 전망이다.
ISO 18000은 임의의 업종이나 제품에 대해 인증하는 9000시리즈와는 달리 한 기업에 대해 인증을 주게돼 앞으로 이 인증을 획득하지 못한 기업은 18000인증을 요구하는 기업,국가와의 교역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이에따라 전경련은 27일 삼성·현대·럭키금성·대우 등 주요 그룹이 참여하는 민간대책반을 긴급히 구성,분야별 대응방안을 논의할 에정이다.
삼성지구환경연구소의 진용팀장은 『이번 ISO 18000이 환경보호를 내세운 선진국들의 또 다른 무역장벽으로도 볼 수 있지만 민관이 적극 협조해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이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할 경우 오히려 향후 국제무역에서 다른 개발도상국이나 경쟁국들보다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효준기자>
◎ISO란/공업규격 국제적 통일위한 민간기구
각국 공업규격의 국제적 통일과 조정을 위해 46년 영국 등 선진국 주도로 결성된 국제민간기구인 국제표준화기구.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있고 현재 90개국이 가입돼 있으며 우리나라는 63년 공업진흥청을 대표기관으로 가입해 91년 이사국으로 선출됐다.
그동안 8천3백여종의 각종 국제규격을 제정했으며 대표적인 것이 87년 채택한 국제품질인증제도인 ISO 9000시리즈다. 우리나라의 KS,미국의 UL처럼 각국마다 서로 다른 품질규격을 하나로 통일시켜 교역에 적용시키자는 목적이며 현재 국제무역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영국의 로이드사,독일의 TUV사 등 선진국가를 중심으로 ISO의 인증대행기관으로 지정돼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