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총련간부 사법처리 검토/노동부·검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공동임투 집회는 3자개입 해당”/현총련,그룹에 대화제의… “거부땐 7일 중대결단”
【울산=김상진·홍권삼기자】 울산지역 현대계열사들의 노사분규는 현대그룹 노조총연합이 30일 노동부의 행사중지 경고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집회를 갖고 『현대그룹이 직접 대화의 상대로 나서지 않을 경우 7일 중대결단을 내리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당국은 현총련 간부들에 대한 사법처리를 검토중이어서 새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현총련은 이날 오후 5시30분부터 7시까지 1시간30분간 울산 일산해수욕장에서 이 지역 17개 계열사 노조원 1만5천여명(노조 주장 3만,경찰추산 8천명)이 참가한 가운데 「93공동임금투쟁 승리를 위한 결의대회」를 열고 공동 임금투쟁을 공식 선언했다.
현총련 집회와 관련,노동부와 검찰은 이날 행사에서 나온 구호나 행사내용으로 보아 노동쟁의조정법상 명백한 3자 개입에 해당된다고 보고 사법처리를 위한 증거수집에 들어갔다.
현총련은 이날 행사에서 「현대그룹에 보내는 공개제안서」를 통해 『2일 오전 10시 울산다이아몬드 호텔에서 현총련 대표와 현대그룹 대교가 형식과 내용에 구애받지 않고 만나 사태해결을 위한 대화를 나누자』고 제의하는 등 6일까지 네차례의 공식대화 일정을 제의했다.
현총련은 이어 ▲1일부터 6일까지 투쟁강도를 대폭 낮춰 대화를 통한 타결을 모색하겠지만 현대그룹측이 대화를 계속 거부할 경우 7일 중대결단을 내리고 ▲합법적인 집회를 3자 개입이라며 분위기를 경색시키는 노동부의 처사는 파국을 초래할 것이라는 등 5개항을 결의했다.
이에대해 현대측은 『임의단체인 현총련과 대화를 나눌 필요가 없으며 계열사마다 임금현황과 여건이 다르므로 사별 협상을 통해 노사간의 의견차를 좁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종전의 입장을 거듭 밝혀 현총련의 대화제의는 무산될 전망이다.
현총련 관계자는 『앞으로 구체적인 쟁의방법은 7일 이후 쟁의상태에 들어가는 9개사가 연대파업을 피상적으로 벌이는 방법이 거론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자동차는 주·야간 잔업포함,하루 9시간의 부분파업,현대중장비는 1개 사업부 2백명만 전면 파업을 하고 나머지 6백명은 정상조업,중전기는 1시간30분 부분파업·태업을 벌이고 있으며 현대정공과 현대종합목재는 1일 이 회사 창립기념일이어서 휴무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