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연장 증안기금 "실탄바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증시 안정기금이 4일로 설립 3주년을 맞았다.
지난 90년 5월 출범했던 증안기금은 당초 3년이 지나면 해체될 예정이었으나 지난 2월 조합원총회를 통해 96년까지 3년 더 시한을 연장키로 결정된 상태다.
이에 따라 기금해체→기금보유주식의 매물화→주가하락은 일단 막을 수 있게 됐지만 기금자체의 실탄(주식매입용 자금)을 대부분 써버린 상태여서 앞으로 증시안전판역할을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증권·은행·보험사와 상장회사들이 출자한 4조원으로 출발했던 증안기금은 지난해 8·24대책에 따른 2차 출자(신설·전환 증권사와 유상증자기업출자)등으로 현재 4조6천5백억원이 출자돼있고 여기에 이자·배당금 수입 등을 합친 층기금 규모는 5조7백억원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이중 ▲4조6백억원 어치는 이미 주식을 샀고 ▲3천3백억원은 출자자에 대한 배당금으로 지급됐으며 ▲이미 산 주식의 유상증자에 대비한 준비금이 2천억원 가량 필요해 앞으로 주식을 실제 살 수 있는 돈은 5천억원 가량밖에 남지 않은 상태다.
그 동안 산 주식은 모두 2억7천7백만주로 총 상장주식의 5%에 이르고 있으며 평균 매입단가는 종합주가지수기준 6백23포인트로 10%이상의 이익을 남기고 있다. 주가가 크게 떨어질 때, 즉 값이 낮을 때 샀기 때문인데 ▲주가하락을 어느 정도 막아 증시안정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증시의 자생력을 해쳤다는 지적도 동시에 받고있다.
특히 대통령선거 전날이었던 지난해 12월 17일에는 7백25억원어치나 사들여「정치안정용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