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처산하기관 잇단 조직개편|KIST 3개단을 6개부로 분리|기계연구원도 대덕·창원 역할분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과기처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의 조직개편이 잇따르고 있다. 이달들어 한국기계연구원이 부설 해사기술연구소를 선박해양연구센터로 조정한데 이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3개 연구단으로 구성된 연구조직을 6개부로 분리·개편했다. 이번 KIST와 기계연구원의 조직개편은 정부의 지시에 억지로 꿰맞춘 그동안의 조직개편 전례와는 달리 최대한 효율적인 연구환경을 만들려는 자체 의지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라 더욱 의미가 크다.
KIST는 전체 연구실을 이공학연구단과 재료연구단, 환경·복지연구단등 3개 연구단으로 묶었던 것을 전문성에 맞도록 6개부로 분리했다. 즉 이공학연구단은 응용과학연구부·기전연구부·정보전자연구부로, 재료연구단은 재료공학연구부·화공고분자연구부로 나누고 환경·복지기술연구단은 환경 CFC연구부로 조정했다.
KIST는 91년 실시된 과기처의 정부출연연구기관 기능재평가에 따라 중복연구로 지목된 기계·전자·화학등의 분야를 각각 다른 연구기관으로 이전할 것을 과기처로부터 지시받았다. 이에따라 KIST는 중복연구의 불가피성을 내세워 반발하면서도 11개연구부를 3개연구단으로 개편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서로 연관도 없는 연구실들이 억지로 하나의 울타리안에 들어감으로써 많은 부작용이 뒤따랐다. 우선 작은 연구소에 맞먹는 2백여명 규모의 연구단 관리와 업무조정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한국기계연구원도 지난 2년여동안 민간기업의 참여문제를 놓고 표류해오던 부설 해사기술연구소를 선박해양공학센터로 개편하고 대덕연구단지의 본원은 동력기계등 대형 기계시스팀을, 분원으로 개편된 창원소재 연구조직은 단위기계류에 중점을 두도록 했다.
이는 기계연구원이 중복연구를 줄이면서 대일무역적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계분야의 연구업무를 대폭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해사기술연구소를 폐지하기보다는 선박해양연구센터로 정예화해 선박성능분야에 연구인력을 집중시킨다는 의도로 풀이되고 있다. <이원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