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선영향 미미/통화량·물가 등 안정/기획원 지표분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번 14대 대통령선거는 통화증발이나 물가·소비 등의 측면에서 경제적 후유증이 매우 적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26일 경제기획원이 분석한 「14대 대선을 전후한 주요 경제지표 추이」에 따르면 12월중 통화공급의 경우 지난 6∼10일중 3천2백79억원,11∼15일중 1조5백30억원이 각각 늘어났으나 이는 주로 정부부문에서 추곡수매자금 방출 등에 기인한 것으로 민간부문의 통화증발은 많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선거일(12월18일)이 들어 있었던 12월16∼20일중에는 총통화가 3백72억원밖에 늘지 않았고 민간부문에서는 오히려 2천9백8억원이 환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금통화비율도 12월10일에는 8.1%,15일 8%,20일 8.2%로 작년 12월의 9.4%에 비해서는 오히려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소비자물가는 11월중 0.5%가 하락,1년전에 비해서는 4.4% 상승에 그치는 등 최근 3년중 가장 안정된 추세를 보인 가운데 도화지·주류·음료수 등은 가격이 많이 올랐으나 선거특수품목인 수건·비누·설탕 등은 작년말에 비해 0.7∼5%의 낮은 상승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건·제지·치약·광고 등 주요 선거관련업종들의 매출동향도 업체에 따라서는 예년보다 다소 호조를 보인 경우도 있으나 별로 두드러진 호황을 나타내지는 못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기획원은 이와 관련,『이번 14대 대선은 이른바 「현대파문」을 제외하고는 경제흐름에 아직 이렇다할 변화없이 차분한 분위기속에서 치러졌던 것으로 평가된다』면서 『이는 지난 13대 대선당시 통화증발,물가 및 부동산가격 불안,소비증가 등 선거가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과는 대조적인 현상으로 이번 선거로 인해 안정기조가 영향받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