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퇴직택하는 공무원 늘어난다/올상반기 689명/작년전체의 82%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전업준비위한 기간 필요하다”/5급이상 상위직 두드러져/정부,대상확대 등 지원강화방침
전업 등을 대비,조기퇴직을 희망하는 공무원이 급증하고 있다.
29일 총무처에 따르면 금년 상반기(1∼6월)의 명예퇴직공무원은 모두 6백89명으로 집계돼 90년 전체 명예퇴직자 6백58명을 넘어섰을뿐 아니라 91년 전체(8백43명)의 82%에 육박하고 있다.
총무처가 지난 87년부터 시행해온 명예퇴직제는 복무잔여기간이 1년이상 10년 미만인 2급 이하의 공무원중 조기퇴직을 희망할 경우 정년까지의 잔여기간중 5년에 대해서는 봉급액의 50%를,5년이상 10년이내는 25%를 수당으로 지급해 명예로운 퇴직기회를 부여하려는 제도다.
명예퇴직을 택한 공무원은 일반 퇴직자와 똑같은 퇴직금을 지급받게 되며,20년이상 근무한 사람의 경우 연금방식과 일시불 지급중 택일하는 점에서도 차이가 없다.
특히 이 명예퇴직제는 징계 또는 징계처분에 의한 승진임용제한자를 제외하고는 희망할 경우 대부분 받아들여져 공무원의 퇴직성향을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의 의미가 있다.
총무처관계자들에 따르면 명예퇴직제 시행 초기인 87∼88년만 해도 『인사적체해소용일 뿐』이라는 공무원들의 불신이 팽배,2백여명을 조금 넘어서는데 그쳤으나 최근들어 고령화사회에 따른 「제2의 인생」을 대비,전업을 준비할 수 있는 여유기간을 확보하려는 공무원들의 의식변화에 따라 조기퇴직 희망자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조기퇴직 희망자중 5급(사무관)이상 상위직 공무원의 증가현상이 두드러져 올 상반기에만 1백4명이 퇴직,91년 전체 숫자인 1백3명을 넘어섰으며 88년 33명과 비교하면 3배이상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정부는 명예퇴직제가 공무원의 조기 사회적응을 돕고 인사운영의 활성화를 가져오는 긍정적 효과가 크다고 보고 점차 퇴직대상의 폭과 지원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최훈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