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의 인내와 끈기를 메르켈에게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호 30면

‘앙겔라 예찬’전에는 독일에서 활동하는 공예가 김경신(52)씨가 동양인으로는 유일하게 초청받아 한국 장신구 솜씨를 뽐냈다. 김씨는 한지(韓紙)를 활용한 우아한 브로치를 내놓아 장신구 비평가와 소장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 한국 출신 공예가 김경신씨

금속이나 보석을 재료로 쓴 유럽 작가들과 달리 부드럽고 은은한 한지를 선택한 김씨는 “메르켈 총리가 한지의 너그럽고 끈질긴 정신을 정치판에서 활용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고 말했다.

“종이는 천 년 가고 비단은 오백 년 간다는 말이 있지만 한지만큼 오래 참고 오래 배려하는 물질도 없을 겁니다. 제가 만든 한지 브로치를 하고 정치 일선에 나서는 여성 지도자는 그 힘을 받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대학과 포르츠하임 예술대에서 귀금속 공예와 조각을 공부한 김씨는 이미 유럽에서 ‘한지를 쓰는 프라우 김’으로 널리 알려졌다. 특히 한지를 여러 겹 단단하게 붙인 뒤 파라핀으로 표면을 처리하고 금과 은을 전기분해 기법으로 결합하는 방법은 그가 처음 개발해 특허를 얻은 특수 처리법이다.

김경신의 한지 브로치 

“지난해부터 전통 칠기를 오늘에 되살리는 데 힘을 쏟고 있어요. 색이 오묘하니 그걸 바라볼 때마다 생의 신비가 솟아나요. 게다가 칠이 건강에 좋으니 더 좋지요.”
김씨는 전시가 끝나면 무덥고 습해서 칠기 제작에 맞춤한 베트남으로 떠난다. 김씨가 베트남에서 돌아올 때쯤 그의 손에 메르켈 총리에게 줄 칠기 찻잔이나 반상이 들려 있을지도 모르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