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 직제 개선 시급"|도서관협 「92년 백서」로 알아본 실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국립중앙도서관 등 공공도서관이 제구실을 하려면 예산의 대폭 증액 외에 사서직 공무원의 최상위 직급을 4급으로 제한하고 있는 현행 제도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서직 공무원의 직급 제한 조치가 우수한 사서직 공무원의 확보를 불가능하게 만들 뿐 아니라 사서직 공무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림으로써 자기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 도서관 협회가 국내 공공도서관의 실태, 역할·문제점·발전 방향 등을 정리하여 발간한 『92년 도서관 백서』에서 밝혀졌다.
백서에 따르면 한국 국립중앙도서관의 예산과 인원은 미국·일본 등 선진국은 물론 대만 수준에도 크게 못 미친다.
연간 예산을 보면 85년 기준 미국이 2천2백억원, 일본이 4백50억원인데 비해 우리는 91년 예산이 겨우 59억원으로 이는 대만의 88년 연간 예산 1백45억원의 절반도 안된다. 인원도 미국이 85년 기준 5천3백8명, 일본이 8백47명인데 비해 우리는 지난해 도서관 진흥법이 발효됨에 따라 10%가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겨우 2백63명이다.
이는 88년 당시 대만의 3백50명보다도 적다.
예산·인원보다 더 격차가 심한 것은 직제와 인력 구성.
미국 의회 도서관은 장관급인 관장 밑에 부관장 및 부관장보와 7국 79과를 두고 있고, 영국 국립중앙도서관은 장관급인 도서관장 밑에 4국 2실 20과를 두고 있으며, 일본 국회도서관도 장관급인 관장 아래 부관장과 7국 39과라는 방대한 조직을 갖추고 국가를 대표하는 중앙도서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국회도서관은 차관급인 관장 밑에 2국 2실 8과 8담당관을 두고있고 국립중앙도서관은 이보다 격이 더 떨어지는 1급 관리관인 관장밑에 2부7과 1실1분관으로 구성돼 한 나라를 대표하는 도서관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기란 애시당초 무리다.
이 때문에 한국도서관협회는 예산의 대폭 증액은 물론 국가를 대표하는 도서관의 경우 장·차관급의 관장과 차관 또는 차관보급의 부관장 밑에 최소 3국 1원 (사서교육연수원) 1실 (자동화실)과 직원 3백50명 이상으로 직급을 높이고 편제를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사서직 공무원의 상위직 직급제한 조치를 철폐하거나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도 바라고 있다. 그것이 우수한 사서직 공무원의 확보를 통해 장기적인 도서관 발전을 기약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것이다. <최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